
[시사뉴스 김대우 기자] 경주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도 불구, 지역 내에서 열리는 대규모 축제는 수수방관하고 있어 집단감염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 1일 경주에서는 일일 최대 규모인 12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이후 2일 17명, 3일 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4일 또다시 8명이 추가로 발생해 5월 들어 나흘 새 45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이 가운데는 경주시평생학습가족관에 근무하는 공무원 2명도 포함됐으며, 이들의 접촉자로 분류된 주낙영 시장을 비롯한 공무원 10여 명은 현재 자가격리 중이다.
이에 시는 평생학습가족관의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 또 경로당을 통한 감염이 확산하면서 지난 1일부터 모든 경로당을 폐쇄하고, 노인종합복지관을 휴관 조치했다.
김호진 부시장은 4일 영상 브리핑을 통해 "최근 지역에서 다른 지역 방문 가족과의 접촉 등으로 감염이 퍼지고 있는 만큼, 가족 간 모임이나 행사, 여행 등을 가급적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시는 이처럼 지역 내 감염요소에 대해서는 휴관 또는 폐쇄 등 원천차단하고, 모임이나 행사 등은 자제해 줄 것을 호소하면서도 유독 (재)문화엑스포가 주관하는 경주엑스포대공원 축제는 수수방관하고 있어 눈치 보기 행정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재)문화엑스포 이사장이 경주시의 상급기관인 이철우 경북도지사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 축제가 개막한 이달 1일부터 나흘 동안 지역 내 확진자 수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할 만큼 심각한 상태다.
특히 일부 확진자는 축제가 한창인 경주엑스포대공원과는 불과 3~5분 거리에 있는 보문단지 내 예식장 등을 다녀간 것으로 확인됐지만 시는 별다른 조치 없이 손을 놓고 있다.
지역 시민들은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초비상이 걸린 상태인데 한쪽에선 축제라니 말이 되느냐?”면서 혀를 찼고, 또 다른 시민들은 “축제 인파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대규모 집단감염으로 번질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문화엑스포는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불구, 이달 1~9일까지 9일간 대규모 축제를 개막했다. 엑스포는 이 행사를 시작으로 5월 한 달간 매주 토요일 거리공연을 진행할 예정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