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휴대용 평면해시계’ 부산광역시지정유형문화재 지정

URL복사

 

[시사뉴스 정은주 기자]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관장 김기수)은 ‘휴대용 평면해시계(평면일영)(携帶用平面해時計(平面日影))’가 부산광역시지정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동아대 석당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휴대용 평면해시계는 1870년 음력 12월 초 강윤(姜潤, 1830-1898)이 제작한 것이다. 강윤은 조선 중기 문인화가인 표암 강세황(姜世晃, 1712-1791)의 증손자로 동생 강건(姜健, 1843-1909)과 함께 당시 최고의 해시계 제작자였다.

 

그의 부친과 아들도 혼천시계와 휴대용 앙부일구를 각각 제작했는데, 중인 신분의 기술자가 아닌 명문가가 3대에 걸쳐 해시계 제작의 전통을 이어나간 점이 특별하다. 

 

이 해시계에는 미색 상아 판에 나침반과 시각선이 위아래로 새겨져 있다. 남쪽에 새긴 십이지의 자(子)는 방위 0˚로 정북(正北)을 의미하며, 시계 방향 순으로 15˚씩 총 24방위를 나타낸다.

 

십이간시는 십간 중 중앙을 가리키는 무기(戊己)를 제외한 대신 팔괘 가운데 사우방(四隅方)을 뜻하는 간(艮) 북동쪽, 손(巽) 남동쪽, 곤(坤) 남서쪽, 건(乾) 북서쪽을 넣었다. 아래 시반은 새벽 묘(卯)시(5~7시)부터 해질녘인 유(酉)시(17~19시)까지 30분 간격으로 구획됐다.

 

 특히 삼각규표로 시간을 측정할 때, 해 그림자의 기울기에 따라 간격을 구획해 정밀도가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하단 양쪽에는 한양의 위도를 뜻하는 북극고도가 전서체로 새겨져 있다. 

 

김기수 동아대 석당박물관장은 “휴대용 평면해시계는 희소성이 높은 유물임에도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명확해 조선 말기 해시계 제작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당시 역사와 과학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귀중한 유물이다”며 “특히 이 해시계는 강건이 제작한 보물 ‘앙부일구’보다 제작 시기가 빠르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김 관장은 “코로나19로 시민들의 문화향유 기회가 줄어들어든 상황에서 우리 박물관은 보다 다양하고 안전하게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여경협,‘미래여성경제인육성사업’3기 출범식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여성경제인협회(이하 여경협)는 지난 20일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미래여성경제인육성사업 3기 출범식’을 개최했다. 21일 여경협에 따르면 이번 출범식은 사업에 참여하는 여학생과 여성 CEO가 한자리에 모여 협력의 기반을 다지고, ‘2025년 미래여성경제인육성사업 3기’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기 위해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심의 평가를 거쳐 사업 참가 학교로 선정된 전국 30개 학교의 학생들과 여성CEO 등 약 300여명이 참석했다. 출범식은 박창숙 회장의 ‘출범 선포’를 시작으로 △업무협약 체결식 △출범 퍼포먼스 △여학생의 꿈 발표 △여성CEO특강 △기념 촬영 순으로 진행되었다. ‘여학생의 꿈 발표’에서는 참여 학생들이 △미래 스포츠 산업 CEO △여행업 CEO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경영인 △자신의 호텔 설립 △건강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론칭 등 자신의 꿈을 발표하고, 예비 여성경제인으로서의 포부를 다졌다. ‘여성CEO 특강’에는 2024년 BBC 선정 ‘올해의 여성 100인’에 이름을 올린 ㈜계단뿌셔클럽 박수빈 대표가 연사로 나서, 사회혁신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창업 모델을 소개하며 미래 여성경제인으로 성장할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대선투표 안하고 여행가겠다”는 정치무관심 층. 그들이 원하는 대통령은?
“요즘 TV뉴스는 아예 안 봅니다. 보면 신경질만 나고 스트레스받는데 그걸 왜 봅니까? 예능프로하고 스포츠 중계만 봅니다. 이번 대선투표요? 찍을 사람이 없어 투표 안 하고 아예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질문을 해 보았다. “아니, 그래도 대통령을 뽑는 선거인데 대선후보 공약도 확인하고 TV토론도 보시고 관련뉴스도 챙겨보면서 누구를 찍을지를 선택하고 투표는 해야 하지 않습니까?” “처음에는 투표를 하려고 했지요. 그런데 국민의힘 후보자 단일화 과정에서 보여준 목불인견(目不忍見)의 상황, 마치 대통령이 된 듯한 야당 후보를 보면 어차피 결론이 난 게임 같아서 투표할 마음이 싹 없어지더라구요.” 청년층들에게도 “이번 대선 투표할 거냐?”고 물어보았다. “대선 투표를 언제 하는데요?” “나라만 잘 살게 해준다면 누가 대통령 되어도 상관없는데 그런 대통령 후보가 없는 것 같아서요.” 6월3일 치러지는 21대 대선 유권자 중 50대(지난해 말 기준 870만6,37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60대(781만8,783명) 노년층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원래 정치에 무관심한 편인 20대 청년층에서조차 이러한 대화를 나누었다는 얘기를 하도 많이 듣다 보니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