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고려사’ 보물 지정

URL복사

 

[시사뉴스 정은주 기자]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석당박물관 소장 ‘고려사(高麗史)’가 최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제2115-4호)로 지정됐다고 23일 밝혔다.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와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문종 1)에 기전체로 편찬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다.

 

당대인 고려시대에는 정식으로 편찬된 적이 없고 조선시대인 15세기에 이르러 옛 왕조의 역사를 교훈으로 삼을 목적으로 처음 간행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사는 한국학 연구의 필수 자료로 고려시대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모두 139권에 달하는 역사서이며, 국왕의 연대기인 ‘세가(世家)’, 당시 문물을 분야별로 서술한 ‘지(志)’, 연표로서의 ‘표(表)’, 왕비와 신하들의 활동 기록인 ‘열전(列傳)’으로 구성된다.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고려사 139권 75책은 1455년 을해자(乙亥字)본을 번각(뒤집어 다시 새김)한 목판본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편이다. 각 표지 왼쪽 상단에는 ‘여사(麗史)’라는 표제가 있고, 그 아래에는 권차 표시 대신 고려사의 총 권차 표시가 작은 글씨로 묵서돼 있다. 

 

특히 이는 지난 1960~1972년 남한 최초로 동아대 고전연구소에서 진행된 '역주 고려사' 간행의 기초가 된 유물이다. 동아대의 고려사 연구는 이후 2001년~2011년 고려사 모든 판본을 비교해 오탈자를 바로잡고 세밀하게 주석을 달아 '국역 고려사' 30책을 완간, 일반인 및 학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김기수 동아대 석당박물관장은 “고려사는 고려의 정사로서 고려의 역사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 사료”라며 “고려의 문물과 제도에 대한 풍부한 정보가 수록됐다는 점 등에서 역사·문화사·문헌학적 가치가 높은 유물”이라고 설명했다.

 

김 관장은 또 “우리 박물관 소장 유물에 대한 학술연구와 더불어 코로나로 힘겨운 상황에서도 지역 문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에 기여하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연속 인명사고 낸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입찰금지' 등 제재 검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 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예방 가능했는지 면밀히 조사하고 건설면허 취소와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찾아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6일 최근 건설 근로자가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잇달아 발생한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 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매뉴얼 준수 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사고가 아니었는지 면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또 "(이 대통령이) 건설면허 취소와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러한 산업재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징벌배상제 등 가능한 추가 제재 방안을 검토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이 최근 포스코그룹에서 중대재해 사고가 빈발한 것을 강하게 질책하며 엄정 대응을 예고한 가운데 포스코이앤씨에서는 지난 4일 또 다시 작업 중이던 근로자가 감전으로 의식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과태료 수준의 제재로는 중대재해 재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