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대구오페라하우스 인기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오페라 온 스크린 진행

URL복사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설 연휴 고향을 찾지않고 집콕 설을 보낸 시민들을 위해

 

시사뉴스 김병철 기자 ] 재단법인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설 연휴, 인기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를 주제로 한 무료 상영회 ‘오페라 온 스크린’을 진행한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설 연휴 고향을 찾지 않고 ‘집콕 설’을 보낸 시민들을 위해 대구오페라하우스가 특별히 준비한 행사이다.


설 당일인 오는 12~13일, 양일간 진행되는 이번 ‘오페라 온 스크린’의 주제 작품은 베르디의 최고 인기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다. 화려한 사교계의 주인공 비올레타가 진정한 사랑을 알게 되면서 사랑을 위해 희생하지만 결국 버림받아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비극적인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대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자 많은 애호가들이 사랑하는 '라 트라비아타>의 수많은 프로덕션 중 특징적인 두 편을 엄선해 각각 하루씩 상영할 예정이다. 똑같은 연출이라도 가수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오페라의 특성상, 관객들은 가수‧연출‧배경 등이 상이한 두 편의 '라 트라비아타'를 관람하며 전혀 다른 두 편의 작품을 감상하는 듯한 새롭고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첫날(12일) 상영되는 작품은 2019년 1월 안토넬라 만나코르다가 지휘하고 로열 오페라하우스 오케스트라‧합창단이 연주한 영국 로얄코벤트가든 오페라하우스 실황 '라 트라비아타'.다. 화려한 의상부터 무대까지 고전미와 장식미, 전통미가 살아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프로덕션으로, 비올레타 역에 ‘이코노미스트’지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인정 받는 소프라노”라는 극찬받은 소프라노 에르모넬라 야호가, 알프레도 역에 ‘테너계의 아이돌’ 찰스 카스트로노보, 제르몽 역에 플라시도 도밍고가 출연했다.


이어 13일에는 극단적인 미니멀리즘으로 유명한 연출가 빌리 데커의 화제작이자 '라 트라비아타' 관련 영상물 중 가장 유명한 프로덕션 중 하나인 2005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실황을 상영한다. 휑할 정도의 배경과 조명을 활용한 심리묘사, 과감한 상징 등으로 현대 오페라 연출의 기원을 열었으며, 신인이었던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를 일약 스타덤에 올린 작품이기도 하다. 당대 최고의 테너 롤란도 빌라존과 ‘세계 3대 바리톤’ 토마스 햄슨이 함께 출연하며, 빈 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이 참여했다.


대구오페라하우스의 ‘오페라 온 스크린’은 오는 12일과 13일, 각각 오후2시부터 상영되며, 사전 예매 없이 입장할 수 있다. 입장 시간은 오후1시부터이며 선착순 300명을 대상으로 한다. 대구오페라하우스 박인건 대표는 ‘새해가 시작되는 설 연휴, 친척들과 함께하지 못할 시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오페라 상영회를 준비했다’며, ‘대중에게 가장 사랑받는 작품인 <라 트라비아타>를 두 가지 버전으로 준비해 서로 비교해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