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초고층 빌딩 하나가 ‘기업’

URL복사


Untitled Document




 


초고층 빌딩 하나가 ‘기업’


순수 오피스 빌딩보다
다양한 부대시설 갖춘 빌딩이 부가가치 더 높아





















130층 580m의 IBC조감도 63빌딩 249m
트레이드 타워 228m 스타타워 206m

‘더 높이 더
빠르게 더 강하게’. 올림픽에 나가 금메달을 목에 걸고자 노력하는 선수들을 독려 하는 표어이자, 조금 엉뚱하지만 인간의 욕망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바벨론 탑과 같은 초고층 빌딩 건설을 추진하는 각 나라의 프로젝트에도 딱 들어맞는 표현이다.

초고층 건물을 짓는 첫번째 이유는 토지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좁은 땅 안에 층수를 높이면 높일수록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확장된다. 그래서인지
초고층 빌딩의 역사는 짧지 않다.

산업발전이 늦었던 우리나라의 초고층 빌딩 역사가 1971년에 완공된 삼일빌딩(31층)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이 그것을 증명한다. 아직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초고층빌딩이라고 내세울만한 것은 없지만, 몇 년 안에 그 이름을 올릴만한 빌딩건축이 계획되고 있어 흐뭇하다.



세계 최고층 예약은 ‘IBC’


현존하는 세계최고층 빌딩은 영화 ‘엔트랩먼트’의 배경이 되기도 했던 페트로나스 트윈타워가 가장 높은 빌딩이다. 하지만, 당장 내년1월이면 101층
규모의 대만 타이페이101에게 1위 자리를 넘겨주어야 하고 그나마도 3년을 지키지 못하고 2007년 완공 예정인 홍콩의 108층짜리 유니온
스퀘어가 세계 최고층을예약하고 있다.

우주에서 바라본다면, 도토리 키재기를 하는 듯 하겠지만, 인간의 높이에 대한 욕망은 쉽게 잠잠해지지 않을 듯 하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외국기업협회에서 그 동안 서울 건축물 고도제한 410m에 묶여 건립하지 못했던 세계 최고층 국제비즈니스센터(IBC)건축 프로젝트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총 연면적 181,593평에 130층, 높이 580m 규모. 공사비로 약 13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IBC 상층부 27개층(104~130층)에는
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560실 규모의 6 star 급 최고급 특급호텔 체인이 들어서게 되며 그 아래 46개층(58~103층)에는 외국인 주거공간으로
활용할 특급호텔형 serviced residence 개념의 외국인 장기 체류용 아파트, 중층부(7~57층)에는 주한외국기업의 head office와
아시아 태평양지역 글로벌 기업의 지역본부, 저층부(1~6층)에는 국제회의를 위한 전시전문 컨벤션센터, 국제박람회장, 백화점, 공항터미널, 영화관,
휘트니스센터, 메디컬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IBC 건립으로 1조7,000억원의 생산유발, 연인원 240만명 고용, 1,000여개 중소기업 활성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웬만한 중소기업은
비교대상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대우의 송도 사옥 프로젝트(100층), 대우의 부산 수영만 타워(102층), 잠실 제2롯데월드(110층)
등이 계획한 후 취소된 경우로, IBC 건립도 확실한 계획이 세워지기 전까지 세계 최고층을 기대하기 어렵다.



수입, 지출 역시 ‘초고층’


초고층 건물의 기준을 몇 층 이상으로 할 것인지 통일된 기준이 명확치 않고, 국내의 경우 초고층 수가 충분하지 않아, 50층(지하층 포함)
이상을 초고층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듯 하다.

빌딩 상주 인원 6,000여명, 유동 인구 50,000여명에 이르는 스타타워는 크기면에서 한국 최고 빌딩이다. 지하8층, 지상45층 규모이지만,
연면적은 64,206평으로 국내 최고층인 63빌딩의 50,305평보다 월등히 넓다. 지상 206m 높이인 스타타워는 정보통신 1등급 건물로
향후 발전된 초고속 인터넷 및 데이터 통신 등을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기반 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UTP케이블을 이용하여
개인 PC에서 공청, 위성 및 종합방송이 시청 가능한 CATV/MATV(AMP사 제품)을 도입하고 있다.

스타타워는 한층당 1,100평 정도의 임대면적에 평당 임대료는 85,000원. 1년 임대료 수입은 약594억원 정도로 현재 유니버셜 픽처스
코리아, 메르세데스 벤츠, ING 생명보험 등 외국계 회사를 비롯한 국내외 유수 업체들이 입주하고 있다.

1989년에 준공한 무역센터 내 트레이드 타워는 지상54층, 지하2층 연면적 32,582평으로 빌딩 자체가 아닌 COEX전시장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더 유명하다. COEX의 운용수입이 트레이트 타워를 능가할 만큼 국내 최고의 전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트레이트 타워는 한층당 845평의 임대면적에 평당 임대료는 84,000원. 1년 임대료 수입으로 477억원을 벌어들이고 있다. 근접해 있는
아셈타워, COEX의 임대수입을 합치면 그 효과는 엄청나다.

국내 최고층 빌딩이 된지 18년째인 63빌딩은 자체에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고, 빌딩 관리자체가 안정단계에 있어 높은 수익을 올리는 빌딩으로
알려져 있다.

연회 및 식음부분에서 650억, 관광부문에서 140억, 빌딩임대 및 관리부문에서 230억, 유통 및 쇼핑부문에서 230억을 비롯해 연간 1,25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다. 상주인원은 10,000명, 유동인구를 포함하면 30,000명 정도가 이용하는 명실상부 한국 최고의 빌딩이다.

세계 최고층을 쟁탈하려는 각국의 노력은 그만큼 빌딩이 가지는 고부가가치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더욱 치열하고 기대치가 높다. 세계적인 명성과
기업에 버금가는 수입을 올리는 초고층 빌딩은 이제 순수 오피스빌딩 보다는 다양한 부대시설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추세다.

박광규 기자 hasid@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