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민주평통 대구 수성구협의회 신철범회장 인터뷰

URL복사

지역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더 살기좋은 곳을 만드는데 힘을 다해

[ 시사뉴스 김병철 기자  ] "오로지 민주 통일과 지역주민을 위한 영원한 봉사라고 생각하면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지역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더 살기 좋은 곳을 만드는 데 힘을 쓰고 싶다.”

이는 제19기 민주평통 대구 수성구 협의회 신철범 회장(금강엘이디제작소 대표.사진)은 봉사라는 단어를 먼저 꺼낸 말이다. 거창이 고향이라 그런지 더욱 지역을 사랑하는 마음이 확대되는 것이다. 사회생활을 왕성하게 하고 있을 때 대구지역으로 와서 고향을 오가며 변화하는 과정을 지켜본 산 증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고향같이 대구에 와서 많은 지역발전에 힘을 쏟았다.

각종 단체를 맡으며 여러 가지 발전사업에 힘을 보탰다. 1988년부터 지금까지 32년간 지역사회 범죄예방 및 불우 출소자 돕기. 취업 알선. 불우 이웃 돕기를 시작하여 생계비 지원은 물론 어려운 이웃 합동 결혼식.북한 이탈주민 합동결혼식을 매년마다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그 만의 탁월한 실력에 대구시 펜싱협회 회장, 대구시 장애인 체육회 부회장,법사랑 대구경북 갱생분과 부위원장, 한국 법무부 복지공단 전국후원회 수석부회장, 거창향우회 회장등 부회장과 회장을 맡아 이끌었다. 현재는 대통령소속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대구 수성구협의회장이 그의 몫이 됐다. 나라를 위해 아직도 그야말로 동분서주하고 있는 것이다.

“민주평화 통일은 , 하나하나 모두 역사가 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國民의 의견을 모아 전달하면서 모두가 힘을 합쳐 남북통일을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

신 회장만의 굳은 의지와 노력은 가히 크다고 볼 수있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 일방통행이 아닌 쌍방통행이 되도록 하기 위해 더불어 지역민과 자문위원간의 중간 지점에 서 있는 것이다. 가교 역할이 주어진 몫인 셈이다. 잘 되는 점은 더욱 계승발전 시키고, 미흡한 점은 하루빨리 개선하고 보완하는 것이 주어진 그 만의 과제이다.

지역을 위한 봉사인 만큼 즐거움도 빠지지 않는다. 특히 얼마전에는 베트남 호치민시 한국 국제학교에 1억동을 손수 쾌척하기도 했다. 또 대구협의회에서도 성금 500만원을 모으기도 했다.정말 무언가 도움을 줄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느끼는 기쁨을 마련한 장본인이라 할수있다. 지역 현안을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만나는 많은 사람과의 대화에도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더욱이 자신만이 스스로의 몫을 다하는 든든한 마음이 함께하고 있어 보람이 더 크다고 말했다.

그래서인지 2013년 10월에는 국민훈장을 받아 모든이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 회장은 “앞으로도 통일을 위하는데 앞장서고 불우이웃 기부에 솔선수범 하고싶다. 대구 지역에서 그래도 모범적인 이미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온 열정을 다하고 싶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