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집콕'안하면..파고다타운~댄스·뮤지컬·체육까지 신규확진자 700명 턱밑[코로나19발생현황]

URL복사

 

 

코로나19 발생현황 10일 0시 기준 신규확진자 682명..2일째 700명대 근접

누적확진자 4만명 넘어..첫 환자 발생 11개월 만

지역발생 646명·해외유입 36명

수도권 524명..서울 264명 경기 214명 인천 46명

 

[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82명 발생해 2일 연속 700명대에 근접했다. 누적 확진자는 지난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1개월 만에 4만명을 넘어섰다.

 

질병관리청(질병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코로나19 발생현황에 따르면 10일 0시 기준 전국 누적 확진자는 4만98명이다. 지난 9일 0시 이후 하루 동안 682명(신규 확진자)이 증가했다. 

 

감염경로별로 신규 확진자를 보면 지역(국내)발생은 646명, 해외유입은 36명이다.  

 

지역(국내)발생 확진자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 251명, 경기 201명, 인천 37명, 부산 31명, 충남 20명, 울산 17명, 경남 16명, 강원 15명, 충북 12명, 제주와 대전 각각 9명, 전북과 경북 각각 8명, 전남 5명, 대구와 광주 각각 3명, 세종 1명 등이 발생했다. 전국에서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이날 수도권에서만 489명이 나왔다. 비수도권에서는 157명의 확진자가 확인됐다.

 

코로나19 위·중증환자는 전날보다 23명 늘어 총 172명이다. 사망자는 8명 발생해 누적 564명이 됐다. 치명률은 1.41%다.

 

서울 확진자로 9일 오후 6시 기준 종로구 파고다타운 8명, 중구 소재 시장 6명, 동작구 사우나 3명, 강서구 댄스교습시설(에어로빅 학원) 관련 1명, 강서구 댄스교습시설 연관 병원 2명(댄스교습시설 관련 3명), 동대문구 체육시설 2명, 송파구 사우나 2명, 영등포구 소재 교회 2명, 강서구 소재 병원 1명 , 중랑구 실내체육시설 1명 등이 확인됐다.

 

경기에선 서울 집단감염으로 종로구 음식점 관련 확진자가 21명 발생했다. 강서구 댄스학원, 성북구 뮤지컬 연습장에서도 1명씩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군포 제조업체 4명, 연천 군부대 1명, 양평 개군면 2명 등이 양성 결과를 받았다.

 

고양 소재 요양원 2곳에서는 1명과 2명씩 확진자가 나왔다. 부천 대학병원에서도 1명이 추가로 감염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