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독감주사 사망 원인 '미궁'..국과수 "제주60대, 백신 사인미상"

URL복사

 

 

독감주사 사망원인 미궁에 빠져..국과수 “제주 60대, 백신 사인미상”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독감주사 사망자인 제주 60대 사망 원인이 불분명하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소견이 나왔다. 제주 60대 사망자는 독감백신 예방접종을 받은 지 2일 만에 사망했다고

 

22일 제주 동부경찰서에 따르면 국과수는 지난 21일 숨진 A(69)씨 부검을 통해 사인 미상이라는 1차 소견을 경찰에 전했다.

 

제주 사망자 A씨의 부검을 요청받은 국과수는 독감주사 사망 원인이 독감백신 접종과 관련 있는지에 대해 명확한 단서를 발견하지 못했다.

 

경찰은 더 구체적인 독감주사 사망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국과수에 정밀검사를 의뢰했다. 결과는 한 달가량 소요된다.

 

 

국가 무료(독감백신)예방 접종 대상자였던 A씨는 지난 19일 오전 9시쯤 제주시 소재 한 의원에서 정부가 지원하는 독감백신 예방접종을 맞았다.

 

이후 A씨는 2일 후 호흡곤란 증상을 보여 제주시 한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 치료 받았지만 21일 오전 0시 10분쯤 끝내 사망했다.

 

제주도 보건당국에 따르면 A씨는 기저질환(지병)으로 고혈압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고려해 독감주사 사망과 독감백신 접종의 명확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역학조사에 들어갔다. A씨는 평소 고혈압은 있었지만 독감백신 접종 시엔 기저질환으로 인한 다른 증세는 보이지 않았다.

 

A씨가 독감백신을 맞은 해당 의원에선 19일부터 20일까지 총 190명에게 GC플루코드리밸런트를 접종했다. 이에 제주도는 현재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