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박경 사과.."학폭 가해자인데 뇌섹남? 속았다" 대중 싸늘[종합]

URL복사

 

 

박경 사과, 학폭 인정 "철없던 사춘기 후회돼 용서해달라"

학폭 피해자 “중학생 시절 일진..친구 돈-소지품 빼앗아”

“담배-술은 기본..여학생 성희롱까지”

박경 사과 및 빠른 인정에도 대중 반응 싸늘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그룹 블락비 박경이 학폭 가해자임을 인정하고 사과했으나 대중의 반응이 싸늘하다. 박경은 tvN ‘문제적 남자’에 출연, 문제 잘 푸는 ‘뇌섹남’으로 불려왔기에 “뒤통수 맞은 기분”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네티즌도 있다.

 

박경은 지난 29일 한 네티즌이 제기한 중학생 시절 학폭(학교폭력) 의혹 관련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장문의 사과문을 게재했다. 박경은 사과문에서 "제 학창시절에 관한 글이 올라온 것을 봤다. 당시 저로 인해 상처받으신 분들, 현재까지도 저를 보면서 과거의 기억이 떠올라 상처받는 분들 모두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초등학교 때 공부하는 것밖에 모르는 아이였다. 친구들에게 그런 것들이 놀림과 무시의 대상이었다"며 "또래에 비해 작고 왜소한 저는 그런 기억을 가지고 중학교에 진학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모범생 같은 이미지가 싫었던 저는 소위 말하는 노는 친구들이 멋있어 보였다”며 “그들과 같이 다니며 어울리고 싶었고 부끄러운 행동을 함께했다"며 인정했다.

 

또 "철없던 사춘기를 너무 후회한다. 저는 바쁘게 살고 있었지만 제게 상처받은 분들께는 절대 지워지지 않는 기억이라는 것, 정당화될 수 없다는 걸 알고 있다"며 "제게 상처 입은 분들은 회사를 통해서라도 연락 주길 부탁드린다. 직접 사과드리고 용서를 구하고 싶다"고 사과했다.

 

박경은 "이번 일로 앞과 뒤가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하실까 두려운 마음이 앞섰지만 회사를 통해 입장을 전하기에는 스스로 더 부끄러워질 것 같아 직접 글을 쓴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고 사과 뜻을 전했다.

 

 

앞서 박경의 중학교 동창이라고 주장한 A씨는 지난 28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저는 블락비 박경 학폭 피해자입니다"라는 장문을 올렸다.

 

A씨는 해당 글에서 "당시 박경은 머리에 짱이라고 'Z모양'을 새기고 다니는 일진이었다. 같이 어울려 다니는 일진들과 함께 학교 후문에서 약한 친구들의 돈과 소지품을 뺏곤 했다"며 "욕을 달고 살고 술, 담배는 기본이었다. 근처 학교 여학생들을 성희롱까지 했다"고 폭로했다.

 

그는 "박경은 약한 애들한테 더 무서운 존재였다”며 “약해 보이는 친구들만 골라서 때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본인이 과거 일을 인정하고 살면 모르겠는데 안 그렇게 살아왔던 것처럼 활동하는 게 위선자 같다"고 비판했다. 또 "막으려 해도 막아지지 않는 일이 있고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며 “박경이 진심으로 뉘우치고 사과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경은 지난 2011년 블락비로 데뷔해 아이돌그룹 활동에 tvN 예능프로그램 ‘문제적 남자’에 출연해 ‘뇌섹남’ 이미지까지 더해져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이에 네티즌은 박경에게 뒤통수 맞은 기분” “이미지에 속았다” “모범생인 줄 알았는데 실망했다” 등 비판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