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병원 건설 등 미루고 수해 복구 우선 추진
피해 복구 자원·인력 동원 더 많이 필요해진 듯
"당 창건일까지 복구" 강조…총력전 전개 관측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이은 태풍 발생으로 당초 계획했던 경제 목표를 전면 조정하고 수해 복구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9일 김정은 위원장이 전날 노동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에서 "예상치 않게 들이닥친 태풍 피해로 국가적 투쟁 과업을 전면적으로 고려하고 투쟁 방향을 변경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올해 북한은 당 창건 75주년을 맞아 그동안 진행했던 여러 건설사업을 마치는 것을 경제 목표로 삼아왔으나 사실상 전면 조정·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관측된다. 앞서 코로나19 확산으로 평양종합병원 건설을 우선 추진했지만 이마저도 태풍 피해 복구 건설보다 후순위로 밀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북한은 지난달 장마철 집중호우와 태풍 '바비'로 인한 수해를 당 창건 기념일(10월10일) 전까지 복구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역량을 집중해왔다. 그러나 이달 들어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이 곳곳을 휩쓸고 지나감에 따라 각종 복구사업에 더 많은 자원과 인력을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의에서 김 위원장은 함경남도 검덕지구의 피해 복구 대책을 논의하고 인민군 투입을 결정했다. 지난 5일 함경도 태풍 피해 지역 시찰 과정에서 평양 당원 1만2000명을 조직해 복구 사업을 지원하기로 한 데 이어 군 병력까지 보탠 것이다.
김 위원장은 "검덕지구를 하루빨리 복구하는 것은 그곳 인민들과 국가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절실하며 경제의 중요 명맥을 살리기 위해서도 반드시 선행하여야 할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적어도 10월10일까지는 새 살림집들의 체모를 갖추고 도로와 철길을 복구하며 연말까지는 모든 피해를 100% 가실 수 있는 국가적인 비상대책을 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당 창건 기념일을 1달 앞두고 수해 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자신이 목표한 기일 안에 복구사업을 끝내기 위해 군 동원이라는 특단의 대책을 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앞서 수해 현장에 투입된 인민군의 태풍 피해 복구 성과를 소개하며 "이와 같은 기세라면 당에서 결정한 대로 피해 복구사업을 10월10일까지 빛나게 결속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수해 국면에서 매번 현장을 찾아 실태를 파악하고 대책을 지시하는 등 애민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수해 복구 사업을 기한 내에 마쳐야 한다는 절박감이 드러나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이 제시한 정면돌파전 청사진에 닥친 위기를 돌파하는 기회로 삼으려는 계산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부터 코로나19 사태로 정면돌파전 성과 창출이 어려워졌으나 이를 대체할 마땅한 경제계획 목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던 차에 연달아 수해가 발생하자 복구사업을 진두지휘하며 민심을 결속하는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공고이하고 있다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