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인물

발행인과 함께 - 한반도 전쟁설과 대통령의 방미

URL복사
<%@LANGUAGE="JAVASCRIPT" CODEPAGE="949"%>


Untitled Document




한반도 전쟁설과 대통령의 방미


라크 바그다드가
합동군에 의해 완전 점령되면서 무수히 많은 희생자를 낳고 있는 전쟁이 조기에 끝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 이라크전과 관련해서 민간인
희생자를 집계한 독립적인 웹사이트 IBC(www.iraqbodycount.net)에 따르면 4월10일 현재, 최소 996명에서 최대 1,174명의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영국에서 그토록 자랑한 최첨단 무기에 의한 ‘오폭’ 내지는 ‘조준 사격’으로 사망한 숫자다. 전쟁이
이른 시기에 끝나면 죄 없는 이라크 국민들이 더 이상 희생당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우리로서도 반길 만한 소식이다. 파병동의안이 통과된 이상,
사지(死地)로 떠나야 하는 우리 병사들의 신변에 대한 안전도가 조금이나마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 기쁜 소식이 매우 염려스럽게 들린다. 미국의 그 다음 목표가 북한이라는 소리가 간간이 들려오고 있는 탓이다.



방미,
북핵 문제 평화적 해결에 초점




뉴욕타임스는 4월6일 “부시 미 행정부의 매파들이 북한과 이란을 전쟁 상대국 1순위로 상정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 신문은 “최근 매파들이
일부 국가들의 행동을 재평가하고 있다”면서 “이 중에 특별히 북한을 언급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말이다.

사실 이러한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북핵 문제가 불거져 나오면서 더욱 확산돼 ‘2003년 3월 한반도 전쟁설’이
온 나라에 파다했다. 또 미국이 이라크 전쟁을 개시한 시점을 전후로 해서 미국의 고위관리들이 이라크 다음 목표는 북한이라고 공공연히 밝히기도
했다.

물론 미국은 공식적으로는 이 같은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켈리 미국무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북한은 이라크 문제와 다르다”면서 “북핵 문제를
여전히 외교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어느 말을 신뢰해야 할지 분간이 안 간다. 그러나 켈리의 말보다는 오히려 전자의 이야기가 진실일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다. 지금의 이라크 전쟁도
보수 매파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현재의 미국을 움직이는 것은 그들이기 때문이다.

모리스 스트롱 유엔 사무총장 특별보좌관에 따르면 북한은 벌써부터 미국의 다음 목표가 자신들이 될 것이라는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대 이라크 전쟁이 시작될 때 그가 직접 평양에서 북한 지도자들과 만나면서 듣고 느낀 바라고 한다.

필자는 어떤 일이 있어도 한반도에 전쟁의 끔찍한 상흔이 되풀이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는 모든 대한민국 사람의 마음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번 한미동맹관계 50주년을 맞아 이뤄지는 노무현 대통령의 5월 미국방문이 주목된다. 노 대통령은 방미 기간 동안 부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및 딕 체니 부통령,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 콜린 파월 국무장관 등 주요각료와 빌 프리스트 공화당 원내대표, 톰 대슐 민주당 원내대표 등을
만나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협조를 구할 계획이다.

노 대통령은 이미 수많은 정치적 지지자들을 저버리면서까지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손을 들어주고, 심지어 파병이라는 선물까지 선사하며 ‘완전한
동반자 관계’임을 미국에 대외적으로 보여줬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을 해바라기 마냥 바라보며 우리가 필요한 볕과 물을 줄 것이라는 착각에 빠져
실리를 챙기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범해선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철저한 방미 준비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 정착의 주춧돌을 갖고 돌아오길 기대한다.




shkang@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