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e-biz

비규제 효과로 주목받는 ‘힐스테이트 여의도 파인루체’, 12일 견본주택 오픈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인해 아파트가 주춤하는 사이 오피스텔이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특히 서울 중심지 속 가성비 높은 오피스텔이 투자자와 실거주자 모두에게 주목을 받는다.

 

정부가 아파트 중심의 규제를 발표하면서 서울에서 새 아파트를 분양 받기가 상당히 어려워졌고, 대출도 어려워졌다. 또한 서울 중심지의 경우 아파트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구매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주변 아파트보다 저렴해 부담이 적은 주거용 오피스텔이 대체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다. 오피스텔은 아파트에 비해 대출이 쉬울 뿐만 아니라 구조도 아파트와 큰 차이가 없고 커뮤니티 등 편의시설까지 누릴 수 있어 투자자와 거주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상품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이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년 2~3월 서울 오피스텔 거래 건수는 4090건이었지만, 정부의 규제 이후 올해 2~3월엔 7909건이 거래되며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에 정부 규제가 집중되다 보니 대출도 쉽고 가격도 저렴한 오피스텔로 수요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며 “특히 서울 중심지는 아파트가 너무 비싸 더욱 오피스텔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고, 그 중에서도 입지와 상품성이 우수한 오피스텔이 앞으로 더욱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중심지 속 가성비 높은 오피스텔로 주목받고 있는 ‘힐스테이트 여의도 파인루체’는 12일 견본주택 오픈을 앞두고있다. 힐스테이트 여의도 파인루체 오피스텔은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지하 6층~지상 17층, 전용면적 25㎡~77㎡, 210실 주거형 오피스텔로 구성된다.

 

힐스테이트 여의도 파인루체는 여의도의 중심 금융업무지구에 위치해 직주근접 환경을 자랑하며, 여의도 생활권을 그대로 공유한다. 파크원(최대규모 복합시설), IFC몰, 현대백화점(입점예정), 이마트 등이 인접해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다. 또한 여의도공원, 샛강생태공원, 한강시민공원 등 서울을 대표하는 도심휴양지가 가까이 있어 주거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 인프라 역시 우수하다. 여의도는 서울 교통 허브의 중심지로 인근에 지하철 여의도역(5, 9호선)과 샛강역(9호선)이 가깝고, 수도권 전역으로 연결되는 여의도환승센터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서부간선도로, 마포대교 등 다양한 도로망 이용도 쉬워 차로 서울 전역 및 수도권 지역으로도 이동이 수월하다.

 

또한 작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GTX-B(수도권광역급행철도) 노선이 계획 중이며, 샛강역~서울대 입구를 잇는 신림선 경전철(2022년 예정), 안산·시흥~여의도를 잇는 신안산선 복선전철(2024년 예정)도 개통 될 것으로 보여 교통은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

 

힐스테이트 여의도 파인루체는 원룸, 1.5룸, 2룸, 3룸까지 다양한 상품 구성을 했다. 전용 25㎡형(원룸)부터 77㎡형(3룸)까지 다양한 수요층을 겨냥한 신(新)평면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힐스테이트만의 스마트홈 시스템인 하이오티(Hi-oT)시스템을 갖추고 무인택배함도 설치해 상품의 경쟁력을 높였다.

 

특히 펫네임인 ‘파인루체(Finluce)’란 Finance와 이태리어로 빛이라는 뜻의 Luce의 합성어로 금융의 메카 여의도에서 가장 빛나는, 가치 있는 건축물이 될 것이라는 의미로 지어졌다.

 

한편, 힐스테이트 여의도 파인루체 견본주택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지에 들어선다. 입주는 2023년 2월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