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오주한 기자] ‘민정수석→법무장관 직행설(說)’ 주인공인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내각 참여를 암시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중앙일보는 조 수석이 지난 13일 자사(自社) 기자와의 문자메시지에서 “나는 입법부형 인간이 아닌 행정부형 인간”이라 말했다고 보도했다. 입법부는 국회를, 행정부는 내각을 뜻한다. 조 수석은 내년 총선에서 최대 격전지가 될 전망인 부산 차출설도 나왔다.
신문에 의하면 조 수석은 문자에서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몫을 제대로 하면 좋은 변화가 만들어질 것”이라 말했다. 신문은 이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법무장관을 맡아달라고 하면 수용할 뜻을 내비친 것”이라고 해석했다.
조 수석에 대한 법무장관 인선은 문 대통령 ‘작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에 따르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6일 “문 대통령은 조 수석에게 총선 출마, 입각 중 법무장관 쪽에 무게를 두고 선택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며 “조 수석은 출마 대신 선대위원장을 맡는 수정안을 건의했지만 문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조 수석은 사석에서 “사법·검찰 개혁, 검경(檢警) 수사권 조정은 청와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건 완성됐고 남은 과제는 법제화 뿐”이라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조 수석의 법무장관 인선을 두고 야당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6일 “패스트트랙 독재열차를 멈추지 않겠다는 문재인 정권 선전포고”라며 “윤석열 검찰총장이 총대를 메고, 조국 법무장관이 뒤에서 조종하고, 경찰이 야당 겁박에 앞장서는 ‘석국열차’ 완성”이라고 비판했다.
이른바 ‘석국열차’ 목적에 패스트트랙 강행, 야당 탄압 외에 총선개입, 정부 고위층 비리 은폐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민주통합당 시절인 2011년 7월 이명박 대통령이 권재진 민정수석을 법무장관에 기용하자 “가장 공정해야 할 자리에 대통령 최측근을 임명하려는 건 선거용 인사, 방패막이 인사”라고 비난했다. 조 수석은 문 대통령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중앙일보에 “문 대통령은 야당 반발을 감수하면서라도 (조 수석 법무장관 기용을 통한) 권력기관 개혁완수 의지가 강하다”고 말했다. 당정청(黨政靑)은 이같은 야당 제기 의혹들을 강력부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