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12일(현지시간) 작년 12월 제로금리에서 이탈을 시작한 미국이 앞으로 금리인상 속도를 완만하게 해서 신흥국에 대한 충격을 줄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방크 드 프랑스 주최로 열린 중앙은행 관련 컨퍼런스에 참석해 미국이 앞으로 물가상승 등 '명확한 증거'에 뒷받침을 받으면서 금리를 천천히 올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지 않으면 이미 취약한 상태인 신흥국에 추가적인 타격을 가할 우려가 있다고 라가르드 총재는 주장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미국이 거의 10년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한데 대해서 적절하고 원활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하면서도 향후 '정상화 속도'가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또 라가르드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도 강조한 것처럼 (금리인상을)완만한 페이스로 해야 한다는 (암묵적인)합의가 있기에 임금이나 물가압력이 증대한다는 명백한 증거를 토대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거듭 역설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미국 금리인상, 일본과 유럽의 금융완화가 달러 강세를 부추겨 달러 기준 채무를 많이 안은 신흥국 기업을 압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때문에 신흥국에선 기업 등 달러에 대한 '엑스포저'가 큰 부문의 취약성이 증대하고 있다고 라가르드 총재는 우려했다.
아울러 라가르드 총재는 새핵 들어 위안화가 급락을 거듭하는 것에는 중국의 환율정책에 불투명감이 커짐에 따라 위안화 변동폭의 증대할 리스크가 있다고 진단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변동성이 주요국의 금융정책 방향성 차이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전망과 정책 행동을 둘러싼 불투명성 때문에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