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미국 민주당 대선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부유세’ 도입을 제안했다. 대상은 연간 500만 달러(약 60억원) 이상을 버는 고소득자로, 4%의 추가세율을 적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클린턴은 이날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 열린 선거유세 도중 ‘추가세금’(surcharge)안을 발표했다.
클린턴의 제안을 도입하면 미국 내 최상위 소득 가구에 대한 세율은 1986년 이후 최고치인 39.6%까지 오른다. 클린턴은 그간 부유층에 대한 세율을 올리겠다고 공언했으며 이번에 처음으로 세금정책안을 내놓았다.
중산층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세제안을 비롯해 더 많은 정책들이 금주 공표될 예정이라고 클린턴 보좌관은 밝혔다.
최근 지지율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민주당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 (버몬트) 상원의원이 경쟁자인 클린턴에 버금가는 기부금을 모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힐러리 캠프를 긴장시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클린턴은 선거운동에서 중산층의 우려를 주요 이슈로 다룸으로써 반격에 나서고 있다. 아울러 엄청난 빈부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클린턴은 지난 달 16일 네브래스카 주 오마하에서 열린 유세에서는 ‘투자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과 함께 나타나 대통령이 되면 연간 100만 달러를 넘게 버는 최상위 부유층에 30%의 최저세율을 부과하는 이른바 ‘버핏 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클린턴은 해외법인에 수입을 이전하는 기업에 부과하는 ‘탈출세’(exit tax) 신설도 제시했다. 미국 제약업체 화이자가 지난해 11월 아일랜드 제약업체 앨러간을 1600억달러(193조6800억원)에 인수하면서 아일랜드로 본사를 옮긴 것에 대한 해법이다.
클린턴은 대선 초기 경합지인 아이오와 주와 뉴햄프셔 주에서 샌더스 상원의원과 박빙의 승부를 펼치고 있다.
지난 10일 월스트리트저널과 NBC뉴스가 공동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아이오와 주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클린턴을 선호하는 비율이 48%, 샌더스는 45%였으며, 뉴햄프셔 주에서는 샌더스가 50%, 클린턴이 4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