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3.27 (목)
- 흐림동두천 12.8℃
- 흐림강릉 8.1℃
- 비서울 13.7℃
- 비대전 20.2℃
- 구름많음대구 17.0℃
- 비울산 19.4℃
- 흐림광주 19.6℃
- 비부산 17.6℃
- 맑음고창 19.3℃
- 구름많음제주 19.5℃
- 흐림강화 10.5℃
- 흐림보은 13.6℃
- 흐림금산 21.2℃
- 맑음강진군 18.6℃
- 맑음경주시 20.3℃
- 흐림거제 18.0℃
기상청 제공
【박성태 칼럼】 초고령사회 노후테크는 재테크 아닌 웰빙건강테크로
지난해 12월23일 기준 국내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이 넘으면서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60세 이상 인구는 1,300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5,160만 명)의 25.2%에 달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수는 1,024만4,550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었다. 유엔은 한 나라의 65세 이상 비율이 14%이상이면 고령사회, 20%이상일 경우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초고령사회로 가는 데 영국이나 다른 나라들이 약 50년, 일본도 10년 이상 걸렸는데 우리는 세계 최초로 7년 만에 초고령사회 진입 국가가 되어버린 것이다. 초고령사회 진입의 가장 큰 원인은 OECD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저출산율에 있다.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1%에 훨씬 못미치는 0.7%대에 머물고 있다. 남녀가 결혼하여 가구당 1명의 자녀도 출산하지 않는다면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고 최근의 평균수명 연장으로 노인들의 기대수명은 점점 높아지니 전체 인구에서 노인들의 비중이 급상승하게 된 것이다. 초고령사회가 되면 노인인구 증가, 생산연령 감소, 젊은 세대의 노인부양비 부담(세금으로 노인정책 시행, 국민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