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12.10 (일)

  • 구름많음동두천 13.0℃
  • 흐림강릉 10.1℃
  • 구름많음서울 15.3℃
  • 구름많음대전 18.7℃
  • 구름조금대구 16.8℃
  • 구름조금울산 15.7℃
  • 흐림광주 17.9℃
  • 구름많음부산 19.1℃
  • 흐림고창 14.8℃
  • 구름많음제주 20.6℃
  • 구름많음강화 12.1℃
  • 구름많음보은 17.4℃
  • 구름조금금산 17.2℃
  • 구름많음강진군 19.8℃
  • 구름많음경주시 15.3℃
  • 구름많음거제 17.7℃
기상청 제공

사회

확진 2만5792명, 일요일 11주새 최저…사망 21일만 최다

URL복사

국내발생 2만5544명, 해외유입 248명
위중증 416명…중증 병상 22.5% 가동
어제 73명 사망…재택치료 20만800명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 연속 2만명대를 기록했다.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는 11주 만에 가장 적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5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2만5792명 늘어 누적 2462만128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2만9353명)보다 3561명 줄었다. 1주 전인 18일(3만4743명)보다는 8951명 적다.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는 지난 7월10일의 2만383명 이후 11주 만에 최저 기록이다. 그로부터 1주 단위로 17일 4만315
명→24일 6만5366명→31일 7만3556명→8월7일 10만5457명→14일 11만9527명→21일 11만905명→28일 8만5230명→9월4일 7만2115명→11일 2만8195명→18일 3만4743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지역별 신규 확진자 수는 서울 4888명, 경기 7088명, 인천 1713명 등 수도권이 1만3689명으로 53.1%를 차지한다.

비수도권에서는 1만2103명(46.9%)이 나왔다. 경북 1573명, 경남 1535명, 대구 1257명, 부산 1156명, 충남 1054명, 전북 932명, 충북 906명, 전남 747명, 대전 723명, 강원 708명, 광주 640명, 울산 451명, 세종 195명, 제주 194명, 검역 32명이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확진자는 2만5544명, 해외유입 확진자는 248명이다.

국내발생 확진자 중 수도권에서 1만3588명(53.2%), 비수도권에서 1만1956명(46.8%)이 각각 발생했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이 6753명(26.4%),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은 4805명(18.8%)이다.

해외유입 확진자 중 검역 단계에서 32명, 지역사회에서 216명이 각각 확진됐다. 내국인은 161명, 외국인은 87명이다. 유입 추정 국가는 중국 외 아시아 158명, 유럽 50명, 아메리카 29명, 오세아니아 8명, 중국 3명이다.

신규 입원 환자 수는 103명이다. 전날(136명)보다 33명 줄었다.

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416명이다. 전날(418명)보다 2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372명(89.4%)이다. 80세 이상 204명(49.0%), 70대 102명(24.5%), 60대 66명(15.9%)이다. 60세 미만 중에서는 50대 26명(6.3%), 40대 11명(2.6%), 30대 3명(0.7%), 10세 미만 2명(0.5%), 10대와 20대 각 1명(0.2%)이 위중증 상태로 치료를 받고 있다.

지난 24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2.5%다. 병상 1846개 가운데 1431개가 비어 있다. 수도권 가동률은 23.3%, 비수도권은 20.8% 수준이다.

준중증 병상과 중등증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각각 27.6%, 15.0%다. 재택치료가 어려운 무증상·경증 환자가 주로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의 가동률은 11.2%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73명으로 직전일(63명)보다 10명 늘었다. 사망자 수는 지난 4일(79명) 이후 21일 만에 최다 기록이다.

사망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73명(100%)였다. 80세 이상 50명(68.5%), 70대 17명(23.3%), 60대 6명(8.2%)이다.

누적 사망자는 2만8213명,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의미하는 치명률은 0.11%이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20만800명이다. 전날 2만6467명(수도권 1만4476명, 비수도권 1만1991명)이 신규로 재택치료에 들어갔다.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는 전국에 176곳이 있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만3925곳,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검사·처방·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만131곳(비대면 진료 가능기관 7982곳)이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