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5.0℃
  • 맑음강릉 9.3℃
  • 맑음서울 6.5℃
  • 맑음대전 8.2℃
  • 맑음대구 9.5℃
  • 맑음울산 9.9℃
  • 맑음광주 9.3℃
  • 맑음부산 11.1℃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2.1℃
  • 맑음강화 5.4℃
  • 맑음보은 6.5℃
  • 맑음금산 7.8℃
  • 맑음강진군 10.1℃
  • 맑음경주시 9.2℃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문화

소프라노 이윤지 리사이틀 ‘Poetry of Love’

URL복사

 

[시사뉴스 홍은영 기자] 소프라노 이윤지의 독창회 '사랑의 시(Poetry of Love)'가 오는 18일(수) 오후 7시30분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2018년 귀국독창회 이후 세 번째로 만나는 그의 이번 무대는 피아니스트 한미연과 플루티스트 서지원과 호흡을 맞춰 다양한 사랑의 테마들을 선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모두가 힘든 때지만 사랑의 테마들을 통해 위로를 받고 따스한 마음을 가져갔으면 좋겠다”라고 말하는 이윤지는 이번 무대에서 사랑에 관한 여러 가지 모습들을 이태리, 독일, 프랑스, 영미 가곡 등 모두 16곡을 선보인다.

 

드라마 ‘펜트하우스’에서 ‘로나’의 청아예술제곡으로 더욱 유명해진 헨델의 오페라 ‘알치나’ 중 <Tornami a vagheggiar(내게 돌아와 주오)>, 사랑의 슬픔과 고통을 표현, 한 편의 로맨스 영화를 보는 듯한 에드바르드 그리그의 6개의 가곡 <Sechs Lieder, Op. 48>, 사랑은 한 번 떠나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레오 들리브의 <Le Rossignol for Soprano, Flute and Piano>, 레날도 안의 <A Chloris>를 비롯한 사랑을 주제로 한 네 개의 가곡, 사랑의 정열을 불태우는 프란체스코 파올로 토스티의 <Summer>, 현대 여성들의 도발적인 사랑을 그려낸 쿠르트 바일의 뮤지컬 ‘One Touch of Venus’ 넘버 중 <I’m a Stranger Here Myself>, 욕망을 꿈꾸며 육체적인 사랑을 갈망하는 제이크 헤기의 <Animal Passion> 그리고 여성성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신비하게 그려낸 조셉 슈완트너의 <Shadowinnower(쉐도우위노어)>등이 무대에 오른다.

 

아울러 이윤지는 피날레 곡으로 선택한 <쉐도우위노어>에 대해 “2013년에 참가한 탱글우드 뮤직 페스티벌에서 청중들로부터 가장 많은 반향을 일으킨 곡이자 언젠가 또 다시 불러보고 싶었던 곡”이라며 “이번 기회에 관객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다”는 말을 전했다.

 

미국 무대에서의 오페라, <사랑의 묘약>의 아디나,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돈 파스콸레>의 노리나, <피가로의 결혼>의 수잔나 역 등 수많은 무대에서 주역을 맡았던 이윤지는 고전과 낭만주의를 넘어 현대음악에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여왔다. 그런 그에게 작곡가들이 이윤지를 찾는 이유에 대해 현대음악 분야의 거장인 소프라노 루씨 쉘튼(Lucy Shelton)은 “훌륭한 테크닉을 구현하는 아름다운 소리와 악보에 대한 분석과 적용이 빠르다. 그래서 듣기 어려울 법한 현대음악까지도 청중들에게 매혹적으로 들려주는 보기드문 아티스트”라고 말했다.

 

소프라노 이윤지는 이화여대 음대, 인디애나 음대, 매네스 음대에서 신애경, 패트리샤 와이즈와 베스 로버츠 교수 그리고 최훈녀 선생을 사사하고 2018년 귀국독창회 이후 국내외 오페라와 콘서트 무대에서 활발한 연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내년 초 미국 ‘Finesse Trio’의 일원으로 초청 공연을 앞두고 있으며 현재 영미성악연구회, 우리가곡연구회, 이화성악회, 경남성악회에서의 연구 활동과 함께 경상국립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남예술고등학교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추경호 체포동의안 국회 통과...재석 180명 중 찬성 172명...국민의힘 의원들 모두 표결 불참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회의 12·3 비상계엄 해제 요구 의결을 방해한 혐의로 현행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ㆍ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출범한 조은석 특별검사팀으로부터 구속영장이 청구된 추경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국회는 27일 본회의를 개최해 ‘국회의원(추경호) 체포동의안’을 재석 180명 중 찬성 172명, 반대 4명, 기권 2명, 무효 2명으로 통과시켰다. 이날 표결은 무기명 비밀투표로 실시됐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모두 표결에 불참했다. 현행 헌법 제44조제1항은 “국회의원은 현행범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기 중 국회의 동의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날 본회의에서 추경호 의원은 신상발언을 해 “저는 계엄 당일 우리 당 국회의원 그 누구에게도 계엄해제 표결 불참을 권유하거나 유도한 적이 없다”며 “국민의힘 의원 그 누구도 국회의 계엄해제 표결을 방해한 사실도 없다”며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다. 추경호 의원은 “저에 대한 영장 청구는 국민의힘을 위헌 정당 해산으로 몰아가 보수정당의 맥을 끊어버리겠다는 내란몰이 정치공작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과 학술교류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과 지난 27일 오후 2시 실학박물관 열수홀에서 학술교류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양 기관 간 학술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 체계 강화를 위해 마련됐으며, 장서각에서는 이창일 고문서연구실장과 허원영 선임연구원이, 실학박물관에서는 김태완 팀장과 진미지 학예연구사 등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보유 자료 기초 조사 실시 및 협업 △문화유산‧한국학 관련 학술대회 공동 기획 및 개최 △각종 자료집·역주서·연구서 공동 기획 및 간행 △전문 연구인력의 상호 교류 및 기타 협업 모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최근 장서각이 그동안 이름으로만 전해지던 최한기의 저술 『통경』을 발견함에 따라, 최한기 가문 자료를 다수 소장한 실학박물관과의 협력 연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양 기관은 최한기의 저술과 가문의 고서‧고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초자료 집성’을 추진하고, 최한기를 중심으로 한 특성화 연구 주제 개발 및 심화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옥영정 장서각 관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여러 기관에 분산돼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했던 최한기

문화

더보기
‘명작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양정무 교수 강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성북문화재단(대표이사 서노원)은 12월 3일(수) 지역 대학과 함께하는 명사 강연 시리즈 ‘사유의 지평, 전환의 시대를 가로지르다’의 마지막 강연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연에는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난처한 미술 이야기)’ 시리즈로 대중에게 인지도를 높인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양정무 교수를 초청한다. 양정무 교수는 신작 ‘명작은 어떻게 탄생하는가’를 바탕으로 명작의 탄생과 역사적 맥락, 그리고 20세기 한국의 명작을 살펴보며 ‘명작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탐구할 예정이다. 또한 미술사학자로서 개인적 경험을 사례로 제시하며 명작에 대한 통찰을 대중에게 전할 계획이다. 올해 성북구립도서관의 명사 강연 시리즈는 김누리 교수, 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해 인문·사회·과학·예술을 아우르는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북구립도서관은 성북구의 예술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예술종합학교와의 이번 협력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공공 도서관의 문화 플랫폼 기능을 강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 성북구립도서관은 이번 강연을 끝으로 2025년 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또 만지작…전국을 부동산 투기장으로 만들 건가
또 다시 ‘규제 만능주의’의 유령이 나타나려 하고 있다. 지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에서 제외되었던 경기도 구리, 화성(동탄), 김포와 세종 등지에서 주택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는 이제 이들 지역을 다시 규제 지역으로 묶을 태세이다. 이는 과거 역대 정부 때 수 차례의 부동산 대책이 낳았던 ‘풍선효과’의 명백한 재현이며, 정부가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땜질식 처방을 반복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 규제의 굴레, 풍선효과의 무한 반복 부동산 시장의 불패 신화는 오히려 정부의 규제가 만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곳을 묶으면, 규제를 피해 간 옆 동네가 달아오르는 ‘풍선효과’는 이제 부동산 정책의 부작용을 설명하는 고전적인 공식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10.15 부동산대책에서 정부가 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규제 지역으로 묶자, 바로 그 옆의 경기도 구리, 화성, 김포가 급등했다. 이들 지역은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거나, 비교적 규제가 덜한 틈을 타 투기적 수요는 물론 실수요까지 몰리면서 시장 과열을 주도했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정부는 불이 옮겨붙은 이 지역들마저 다시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만약 이들 지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