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민경윤 칼럼니스트] 동물마다 들을수 있는 주파수가 다르다고 한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는 20~20000 헤르츠(Hz) 사이고 이것을 벗어나는 소리의 주파수는 들리지 않는다.
피아노와 타악기를 연주 할 때는 초저주파가, 바이올린과 플루트를 연주 할 때는 초고주파가 발생한다. 초저주파와 초고주파에 심신 치유의 비밀이 있다.
1995년 교토대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두 고주파를 가진 음악이 우리 뇌간을 자극해 인체의 자기 치유력을 높인다고 한다. 뇌간은 심장기능, 호흡, 체온 조절, 소회기, 혈액 순환, 호르몬 조절등 생명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핵심 부위다.
이 연구에 따르면 자연의 소리, 오케스트라 연주를 직접 들어도 심신 치유효과가 있다고 한다. 다만, CD 등 오디오를 통해 간접적으로 듣는다면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한다. 직접 들을 때 나오는 일부 주파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다른 연구가 있다. 연세대 의대 창의센터장 김진영 교수는 소리 나는 신기한 태엽 장난감 정도로만 알고 있는 ‘오르골’을 일본에서는 내과나 피부과, 류머티스과, 알레르기과 등 여러 임상과에서 치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정신과 신체 건강을 복원,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 목적으로 음악을 사용하는 과정을 ‘뮤직 테라피’라 하는데 스위스 루즈라는 회사가 만든 치료용 오르골을 일본인들이 뮤직 테라피에 활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뮤직 테라피는 심신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 혈압과 호흡 안정, 집중력 향상뿐 아니라 환자와 함께 음악을 들은 환자의 가족, 지인들에게까지도 치료 효과가 있다고 한다.
수술한 환자에게 수술 후 들려주는 음악은 325㎎의 타이레놀 복용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조숙아에게는 뇌 발달에 필요한 청각적 자극이 뇌 발달 속도를 높여 정상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물론 인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건 숲에서 나오는 자연 바람이나 오케스트라 연주 등 다양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매일 숲에 가거나 오케스트라 연주를 듣기는 힘들다. 이에 일본인들은 가까이에 두고 직접 진동을 느낄 수 있는 오르골에 주목했다.
일본 오사카대와 교토대 등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귀에 들리지는 않지만 뇌에서 파장으로 들을 수 있는 테라피용 루즈오르골의 저주파와 고주파가 뇌간과 시상 하부의 혈류를 활성화해 전신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최근 오르골은 이러한 의학적 용도 외에 명품 시계가 다져놓은 아날로그 시장에도 발을 들여놓고 있다. 원래 스위스 제네바의 시계 장인들이 고안한 자동 연주 기기인 오르골은 오디오의 등장과 세계대전, 대공황 등으로 쇠락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아날로그 명품이라는 이름으로 회생했고, 불황의 스트레스로 우울하거나 불면의 밤에 지쳐 있는 사람들에게 치유 오르골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우리 주변에 혹시 무한한 잠재력을 숨긴 채 숨죽이고 있는 아이템은 없는지 살펴볼 일이다.
15kHz 이상의 초음파는 암을 억제시킨다고 한다. 우리가 TV나 라디오 등을 통해 듣는 음은 20~20,000Hz이다. 20kHz 이상은 우리가 들을 수 없는 주파수라 커트를 하여 CD등에 수록한다.
MP3음원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오디오로는 암 억제에 필요한 15kHz 이상의 음원을 많이 들을 수 없긴 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공연장에 직접 가서 대편성 오케스트라를 듣는 것이 가장 좋고 고음이 많이 나는 바이올린 소리를 듣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좋은 것 같다. 직접 가서 들으면 15kHz이상의 초음파를 많이 들을 수 있다. 그래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지휘자가 장수한다고 한다.
실제 카라얀은 82세를 살았고 다른 지휘자들도 대체적으로 장수하였다. 이론적으로 상당히 근거가 있는 것 같다. 초음파로 암을 치료하는 의술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사정상 라이브공연을 못가면 집에서 클래식음악을 많이 듣기만 하여도 좋을 것 같다. 대중음악의 음역 범위는 대부분 클래식의 범위보다 좁기 때문에 가급적 클래식 음악이 좋은 것 같다.
암환우들은 공연장에 직접 가서 라이브 공연을 많이 듣는 것이 좋고 오케스트라 공연은 왼쪽 앞쪽이 바이올린연주자 앞이어서 15kHz의 초음파소리를 많이 들을 수 있다.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