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SK바사, 기관 보호예수 물량 내달 1일 풀려... 주가 악영향 주목

URL복사

 

 

36만여 주 의무보유확약 해제 D-2일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IPO(기업공개) 역대급 대어로 주목받았던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가 오는 4월 1일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상장 후 15일차에 접어드는 이날 '락업'이 풀리면서 기관투자자 매물이 나올 수 있어서다.

 

30일 SK바이오사이언스(SK바사) 공시에 따르면 이날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이 한 차례 풀린다. 해당 물량은 36만4380주로 기관투자자 물량의 2.89%에 불과하지만, 한 차례 기관 매물이 쏟아지면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무보유확약이란 공모주를 배정받은 뒤 일정기간 팔지 않기로 약속하는 것으로 보호예수 혹은 록업(Lock-Up)이라고도 불린다. 보통 상장 후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 등으로 지정되는데 대부분 공모주의 경우 의무보유확약이 풀리는 때마다 주가 하락을 보여왔다. SK바이오팜은 약 500만주에 달하는 보호예수기간이 끝난 당일 8.58% 하락 마감한 바 있다.

 

다만 SK바사의 경우 이날 록업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주가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기관 물량이 풀리면서 당일 약 2~3% 주가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발행주식 총수의 0.47%로 450억원 규모에 불과해 향후 회복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SK바사는 상장 후 하락세를 이어가는 만큼 투자심리에 적잖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SK바사는 다른 대어급 공모주에 비해 상장 후 유통물량이 많지 않아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우려가 적은 편이었다. 게다가 역대급 청약 흥행을 거둔 만큼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지만, 지난 1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첫날 '따상(공모가 2배에 시초가 형성, 이후 상한가)'을 기록한 뒤 내내 하락세다. 특히 전날에는 6.44% 떨어지는 등 시초가(13만원)도 붕괴됐다.

 

외국인 매도세가 계속되는 데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최근 재조명된 점, '공모주 학습효과' 등이 더해지면서 하락세가 가속화할 수 있다.

 

실제로 외국인은 상장 일부터 지난 8거래일 간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도하고 있다. 총 109만1859주를 팔아치웠는데, 해당 기간 개인은 지난 24일을 제외하고 꾸준히 순매수한 것과 대조적이다. 기관은 상장 4거래일차에 순매수로 돌아선 상태지만, 1일에 의무보유확약 기간이 한 차례 풀리면서 매도세로 전환될 수 있다.

 

게다가 최대주주인 SK케미칼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 관련 재판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SK바사도 연대책임이 있는 만큼 투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투자자 사이에 공모주 주가는 상장 후 반짝 상승했다 하락한다는 일종의 '학습효과'가 강화된 만큼 주가 반등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이 대표는 "SK바이오팜에서 카카오게임즈 등 지난해 대어급 공모주에서 형성된 투자자 학습효과로 '따상상'이나 '따상상상'과 같은 주가 강세를 보이기 쉽지 않은 시장이 됐다"며 "SK바사는 이미 상장 후 주가 하락세에 접어든 만큼, 매수에 앞서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해냄에듀가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을 출간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은 지리에서 시작된다. 신간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은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인 지리학을 구성하는 개념과 사상을 간결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 영역을 모두 포함해 환경, 공간, 장소와 같은 핵심 주제를 다루며, 지리학의 연구 방법과 지리학사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이 왜, 그리고 어떻게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입문서지만 단순화되지 않은 이 책에서 저자는 학생들이 사전 지식 없이도 지리학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짧고도 세련된 이 책은 ‘지리적 상상력’에 매료된 모든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가 될 것이라 전한다. 이 책의 저자인 앨러스테어 보네트는 지리학과 교수이자 여행 작가다. ‘장소의 재발견’, ‘지도에 없는 마을’ 등을 통해 낯선 장소와 익숙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던 그가 이 책에서는 지리학에 대해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지리학은 단순히 지도를 외우거나 어느 지역에서 어떤 자원이 생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