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태풍 바비 잇단 피해..물놀이 10대 사망-하늘·바닷길 끊겨[태풍 바비 경로]

URL복사

 

 

태풍 바비 경로 제주 서귀포로 향해 피해 속출...물놀이하던 10대 사망

25일 제주지역에 태풍 바비 직·간접적 영향으로 잇단 피해

육지로 가는 여객선 모두 끊겨, 항공편도 줄줄이 결항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태풍 바비 경로가 제주도 서귀포로 향함에 따라 태풍 바비(제8호 태풍 BAVI)에 의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제주해양경찰서에 따르면 25일 오전 11시 10분께 제주시 애월읍 곽지해수욕장에서 물놀이 하던 A(17·경기도) 군이 파도에 휩쓸려 숨졌다. 사고 당시 해상엔 너울이 일고 있었다.

 

8호 태풍 바비로 인해 높은 물결이 일면서 이날 오후 모든 여객선 운항이 통제됐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제주운항관리센터에 따르면 이날 태풍 바비 경로가 제주로 향함에 따라 제주에서 출항할 예정인 9개 항로 15척 가운데 4개 항로 4척은 제외됐다.

 

강풍이 불면서 항공기 운항도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재 제주도 앞바다와 남해서부서쪽먼바다에는 풍랑특보가 발효돼 있다.

 


 

서울 김포공항에서 제주로 출발할 예정이었던 대한항공 KE1289편은 사전 결항이 결정됐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 도착될 계획이던 6편이 태풍으로 운항이 취소됐다.

 

태풍 바비로 인해 한라산 입산 역시 통제됐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태풍 바비 영향으로 강풍과 많은 비가 예보되자 이날 오전 입산을 통제했다.

 

앞서 기상청이 발표한 태풍 바비 경로에 따르면 제8호 태풍 바비는 이날 오후 3시 기준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약 400㎞ 부근 해상에서 서귀포시 서쪽 해상을 향해 시속 12㎞의 속도로 북북서진 중이다.

 

태풍 바비는 중심 기압 960h㎩(헥토파스칼), 최대 풍속 초속 40m로 강도 ‘강’, 크기는 ‘중형’이다. 낮 12시엔 제주도 남쪽 먼바다에 태풍주의보가 태풍경보로 변경됐다.

 

기상청은 태풍 바비가 세력을 더 키워 강도 ‘매우 강’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태풍 바비 경로가 제주도를 향해 일찌감치 도내 재난 대응 기관들이 비상 태세를 갖췄다.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25일 오후 10시 ‘선제적 비상 2단계 근무’에 들어갔다.

 

타이완 인근에서 발생한 태풍 바비 뜻은 산맥 이름이다. 태풍 바비 이름은 베트남에서 제출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