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7.8℃
  • 맑음강릉 10.3℃
  • 박무서울 11.3℃
  • 박무대전 9.6℃
  • 박무대구 10.8℃
  • 구름조금울산 11.8℃
  • 구름많음광주 13.1℃
  • 구름조금부산 14.8℃
  • 구름많음고창 9.9℃
  • 구름조금제주 16.7℃
  • 맑음강화 7.6℃
  • 구름조금보은 6.9℃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많음강진군 10.6℃
  • 구름조금경주시 9.4℃
  • 구름많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문화

[이화순의 아트&컬처] 옥현숙 작가, 삶과 생명 엮은 개인전 열어

URL복사

11일까지 명동성당 옆 요갤러리
홍익조각회 제25대 신임회장 맡아



그물과 오브제로 관계망을 표현해온 옥현숙 조각가(홍익조각가회장)가 11일까지 서울 명동성당 옆 1898광장 B117호 요갤러리에서 일곱 번째 개인전 <삶과 생명을 짜다>展을 열고 있다. 

작가는 경남 마산의 조선소집 딸로 생선들의 천국인 어시장을 놀이터삼아 자랐던 추억이 생명체가 되어 작품 세계를 펼쳐왔다. 바다와 배, 물고기, 어망 등과 벗했던 어린 시절의 추억을 작품 세계로 확장해왔다.

황금빛 같은 구리동선 혹은 은빛 어망들이 씨실과 날실로 촘촘히 엮여 삶의 서사로, 또 유기적인 생명체의 연결망으로 자리해왔다. 그 연결망은 일상의 오브제들을 잉태시킨 지나온 삶의 시간이자 오브제들로 이어지는 생명체들의 보이지 않는 사슬이다.
 
마치 자음과 모음이 만나 한글을 이루듯, 작가가 오랜 시간 직접 손으로 만든 씨실과 날실의 그물망은 삶의 이야기들을 엮어냈다. 삶의 큰 울타리이자 안식처였던 아버지와 어머니, 고향, 이웃들의 삶은 작품의 생기를 주는 원천이다.




전시장을 둘러보면, 구리 동선 어망 속에 작은 여성 오브제 하나만 외롭게 놓인 작품도 있는가하면, 멸치가 어망에 걸려 출렁이는 듯한 작품도 있다. 큰 물고기가 주인공이 된 작품이 있는가 하면, 여자와 남자, 어린아이, 물고기, 꽃과 나비, 사과, 조가비 그리고 달과 별 같은 형형색색의 보석 같은 오브제들이 함께 한다. 

분명한 주제의식 속에 장식적인 효과와 미적 감각이 조화롭게 엮이고 작가의 스토리텔링 솜씨까지 가미되어 그의 작품들은 아기자기한 맛과 멋을 되새겨보게 된다.

하지만 이번 전시 속에 작가는 숨은그림찾기 혹은 보물찾기 하듯이 십자가와 성모(聖母)를 작품 속에 표현했다. 그물과 물고기, 생명체와 관계망을 뛰어넘는 이야기를 숨겨놓았다는 거다.  


“이번 작품을 하면서 작품이 곧 제 몸이라는 것을 직시하게 됐어요. 작품이 곧 제 삶의 이야기죠. 어머니 자궁의 탯줄을 잡고 태어나듯, 우리들은 하나의 생명줄로 세상과의 관계를 시작하고 연결하며 살죠. 알파와 오메가처럼 처음이 있으면 끝이 있는데, 그 관계들은 시간과 삶 속에 복잡하게 얽혀있죠. 기쁨과 슬픔, 고통이 얽힌 그 관계망은 생명이 있는 한 벗어나기 힘들지만 언젠가 알파와 오메가처럼 우리에게도 마지막 순간이 찾아오지요. 바로 그 망의 줄이 끊기는 순간, 삶과의 이별, 몸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게 되지요.”
  
작가는 이번 작품을 위해서도 손과 눈이 아플 지경으로 작은 비즈와 구리망을 노동하듯 반복적으로 엮어냈다. 그 모습은 상상만으로도 한편의 구도 행위와 닮았다. 십자가와 성모(聖母)를 작품에서 찾았다면, 작가의 작품을 새로운 시선으로 다시 보게 된다. 이런 작품성 때문인지 이번 전시 기간 중에는 일반인 관객뿐 아니라 사제와 수녀 등 성직자들도 많이 다녀갔다.

이제 곧 환갑을 앞둔 작가가 마치 구도의 수행을 반복하듯이 촘촘히 짜내려간 삶과 생명의 그물망 스토리가 감동을 주었음에 틀림없다. 


작가는 홍대 조소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고, 독일에서 수학했다. 지난 1월6일부터 제25대 홍익조각회 회장을 맡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윤상현 의원, 흉기 이용 스토킹범죄는 벌금 삭제하고 최고 5년 징역 법률안 대표발의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흉기 이용 스토킹범죄는 벌금형을 삭제하고 최고 5년 징역형에 처하게 히는 법률안이 발의됐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을,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5선, 사진)은 5일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는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스토킹행위’란 상대방의 의사에 반(反)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가.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이하 ‘상대방등’이라 한다)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거나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나. 상대방등의 주거, 직장, 학교, 그 밖에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이하 '주거등'이라 한다) 또는 그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2. ‘스토킹범죄’란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스토킹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18조(스토킹범죄)제2항은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