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리] 친노 패권주의의 망령을 경계하는 이유
4.13 총선 후폭풍이 집권 새누리당에만 일파만파 일고있는 것은 아니다. 총선 승리, 더 엄밀히는 부분승리 이후 마냥 승전고(勝戰鼓)에 취해있을 것만 같던 더불어민주당이 자칫 더 큰 후폭풍에 휘말릴 수 있는 처지다. 아니 실제로 사단이 벌어지고 있고 그 파열음이 터져나오는 상황이다. 더민주당의 대주주는 누가 뭐래도 문재인 전 대표였다. 이를 부인할 사람은 없다. 문 전 대표가 삼고초려끝에 불러 김종인 비대위대표체제하에 총선을 치른 결과 더민주당은 새누리에 1석 앞선 123석으로 당당히 원내 1당의 지위에 오르는 기쁨을 맛보기도 했다. 하지만 그 기쁨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있다. 결과가 더민주의 지지로 인해 얻은 결과가 아니라 집권당의 오만한 행태를 심판하기 위한 수단이었을 뿐이었기 때문이다. 승전의 기쁨을 맛본지 불과 열흘도 채 못돼 김 대표의 그간 노고를 격려해주기 위해 만난 문-김 회동에서 사단은 출발했다. 지난 22일 만찬회동이 그것. 총선직후 흘러나온 '김 대표 합의 추대론'이 사단의 핵심이었다. 김종인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는 이날 회동을 갖는 자리서 김 대표의 ‘합의 추대론’에 대해 문 전 대표가 분명한 가이드라인을 그으면서 날개가 필요했던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