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총재가 걸프지역 산유국들에 대대적인 세제 개혁과 재정 안정을 위한 긴축을 다시 한번 촉구했다.
쿠웨이트타임스,걸프 타임스 등의 보도에 따르면, 라가르드 총재는 8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걸프협력위원회(GCC)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장 회의에 참석한 후 발표한 성명에서 "새로운 재정 현실을 고려할 때 (산유국 정부들은) 공공임금을 더 올릴 여력이 없다"며 "(저유가로 인한 재정난) 현실을 직시해야만 한다"고 촉구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올해 GCC 6개 회원국의 수출이 저유가로 인해 전년보다 2750억 달러(약317조원)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면서, 올해 6개국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평균 3.2%를 기록하겠지만 내년에는 2.7%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2014년 성장률은 3.4%였다.
그는 "저유가 국면이 향후 수년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면서, 이로 인해 걸프지역 산유국들의 균형재정이 '가파르게 악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올해 6개국 평균 재정적자를 GDP 대비 12.7%로 내다봤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 산유국들이 '지역 부가가치세(regional value-dded tax)'를 가능한 시급히 도입해야 하며, 이런 세제개혁들을 늦춰서는 안된다고 강하게 요구했다.
GCC 6개 회원국들은 지난 수년동안 부가가치세 도입 방안을 놓고 논의해왔지만 아직까지도 시행에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회원국들은 부가가치세 도입으로 인한 자국 경제 경쟁력의 약화를 우려하고 있다.
라가르드 총재는 또한 성명에서 GCC 회원국들이 공공투자 프로젝트에 대해 좀더 신중하고 효율적인 태도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IMF는 '중동과 아시아 지역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지금처럼 적자성 지출을 지속할 경우, 5년 안에 재정이 바닥날 수 있다고 경고한 바있다. IMF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2014년 2%에서 내년에는 17%까지 급등할 것으로 내다보면서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아라비아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과 사회 복지를 크게 줄이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