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제도의 개선을 집요하게 추진하는 일본이 세계기록유산인 '난징대학살 자료'를 견제하려고 내놓은 의견서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우려가 크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6일 보도했다.
신문은 난징대학살 자료에 반론을 제기하고자 일본이 외무성과 전문가의 의견서를 유네스코에 냈지만, 전문가 의견서가 난징대학살 자체를 부정하는 학자의 저서를 인용하는 등 공정성과 신빙성이 떨어져 역으로 일본의 이미지를 나쁘게 만들 수가 있다고 전했다.
의견서는 메이세이(明星) 대학 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가 작성해 유네스코 일본대표부의 사토 구니(佐藤地) 대사의 의견서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 지난 9월 말 제출됐다.
다카하시 교수는 의견서에서 중국이 일부 공개한 난징대학살 신청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청자료로는 "내용의 진정성을 판단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의견서는 또 "약 100명의 일본군이 난징대학살 존재를 부정하는 책을 출간했다"고 소개하는가 하면 난징대학살을 날조라고 주장한 아시아대 히가시나카노 슈도(東中野修道) 교수의 저서를 인용, 중국이 제시한 사진의 촬영 시기에 의문을 표명하며 "관련성이 의심쩍다"고 기술했다.
한중일과 유럽의 역사인식 비교를 연구하는 시즈오카(靜岡) 현립대 겐모치 히사키(劍持久木) 교수는 "의견서가 난징대학살을 부정하는 학파를 편들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을 부인하는 것과 같은 인상을 세계에 주지 않을 수 없다"고 걱정했다.
일본 정부는 난징대학살과 관련해 "비전투원의 살해와 약탈행위가 있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고 일부 사실을 인정하는 자세를 보여왔다.
2010년 중일 역사공동연구에서 일본 측은 난징대학살 피해자 수를 20만명을 최대로 4만명, 2만명 등으로 추산한 반면 중국 측은 30만명 이상이라고 주장했다.
하세 히로시(馳浩) 일본 문부과학상이 전날(현지시간)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총회에서 세계기록유산 등재 제도의 투명성을 높일 것을 촉구했다.
일본 문부상이 유네스코 총회에서 연설하는 것은 이례적으로 하세 문부상은 난징대학살 자료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대해 "사람의 마음 속에 평화의 요새를 구축하는 유네스코의 기본 정신을 되새기지 않으면 안 된다"며 중국을 암암리에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