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미국 공화당 대선 유력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후보는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기준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독립적인 중앙은행으로서 연준의 통화정책 정치 중립성을 부정하는 트럼프 후보의 발언에 백악관은 즉각 반발했다.
트럼프 후보는 3일(현지시간) 뉴욕 트럼프타워에서 열린 신간 '불구가 된 미국 : 어떻게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인가'(Crippled America : How to make America Great Again) 출판 기자회견에서 "옐런 의장은 금리를 올렸어야 했다"면서 그가 "정치적인 이유"로 금리 인상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은 오바마 대통령이 금리를 올리지 말아 달라고 부탁했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하지 않는 것"이라며 오바마 대통령은 거품이 꺼질 것을 우려해 임기 후로 금리 인상을 미루길 원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바마 대통령은 지금부터 (임기가 끝날 때까지) 1년 간 골프나 치러 다니고 다른 일들을 하길 원한다. 그는 자기 임기 안에 또 한 번 버블 붕괴가 일어나는 것을 보고 싶지 않아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후보의 발언에 대해 백악관은 연준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고 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조쉬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오바마 행정부는 연준이 미국의 최대 이해와 경제에 전적으로 집중한 통화정책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보장하고 편협한 정치적 고려사항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더렵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말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이어 부동산 재벌 트럼프 후보가 회사 여러 곳을 파산시킨 이력을 언급하며, 트럼프 후보의 신뢰성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트럼프 후보는 이번 신간에서 한국이 미군에 안보를 무임 승차하고 있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그는 "이제는 이들 나라가 합당한 몫을 부담해야 할 때"라며 "한국, 일본, 독일, 영국, 사우디 아라비아 등에 미군 주둔 비용을 청구해야 한다고 썼다.
트럼프 후보는 유세 과정에서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에 푼돈을 부담하고 있다며 주둔 비용을 재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는 한국, 일본, 독일 같은 잘 사는 나라가 미국에 안보를 기대면서도 정작 아무것도 해주는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그러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으로 미국에 1조원 가까운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이번 신간에는 이민, 교육, 의료서비스, 경제 등 주요 대선 이슈에 대한 트럼프 후보의 입장이 정리돼 있다.
표지에는 화난 표정으로 정면을 노려보고 있는 트럼프 후보의 사진이 담겼다. 트럼프 후보는 이 사진이 미국의 현 상태에 대한 분노와 비애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