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KS]유희관, 불펜 부진+실책에 날아간 승리

URL복사

[시사뉴스 박철호 기자] 두산 베어스의 왼손 투수 유희관(29)이 승리투수 요건을 갖추고도 좌절했다.

유회관은 25일 대구구장에서 열린 삼성과의 2015 타이어뱅크 KBO 한국시리즈 1차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 6이닝 8피안타(1피홈런) 2볼넷 2탈삼진 5실점을 기록했다.

그는 승리투수 요건을 갖춰 2013년 플레이오프 이후 포스트시즌 5경기 만에 통산 2승 수확을 눈 앞에 뒀다. 그러나 불펜 부진과 결정적 실책에 물거품이 됐다.

유희관은 올해 포스트시즌에 2차례 등판했지만 실망스러운 성적을 남겼다. 시즌 후반 부진의 여파를 털어내지 못했다.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4이닝 동안 홈런 2방을 맞으며 3실점을 해 조기강판됐다.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설욕을 다짐했지만 2⅓이닝 6피안타 1탈삼진 4실점으로 부진했다.

그러나 이날 두산은 로테이션대로 유희관을 밀어붙였다. 김 감독은 "유희관이 살아나야 이번 시리즈를 재미있게 치를 수 있다"며 부활을 기대했다.

시즌 초중반의 좋았던 모습 만큼은 아니었지만 든든한 타선 지원 속에 리드를 지키며 제 역할을 다했다. 이현승을 제외하고 믿을 만한 불펜이 부족한 상황에서 6이닝을 버텼다는 것이 의미가 있었다.

유희관이 2회까지 4명의 타자를 범타로 처리하는 가운데 타선은 5점을 지원했다.

그러나 3회 낮은 코스로 제구가 되지 않으며 어려움을 겪었다. 선두타자 이지영에게 안타를 맞은 후 김상수에게 적시 2루타를 맞았다. 박한이에게도 공이 스트라이크존 한 가운데로 몰리며 추가실점을 했다.

6-2로 앞서던 4회에는 주무기 싱커의 제구가 높게 돼 선두타자 박석민에게 우월 솔로홈런을 맞았다. 이어 유희관은 이승엽의 2루타와 채태인의 적시타로 2점차로 추격을 당했다.

그는 박한이에게 볼넷을 내주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수비범위가 넓은 외야수들의 덕을 보며 이닝을 마쳤다.

호흡을 가다듬은 유희관은 5회 나바로~최형우~박석민으로 이어지는 삼성의 클린업 트리오를 삼자범퇴로 잡아냈다.

6회 팀 동료 정수빈이 부상을 입으면서도 타선이 2점을 지원사격하자 유희관도 내야안타 1개만 허용하며 호투를 이어갔다.

투구수 103개를 기록한 그는 8-4로 앞선 7회에도 마운드에 올랐지만 박한이에게 우전안타를 맞았고 바로 불펜투수 함덕주와 교체됐다.

그러나 두산의 약점인 '셋업맨 부재'가 발목을 잡았다. 함덕주는 나바로에게 3점홈런을 맞으며 1점차 추격을 허용했다.

노경은을 올려놓고 시간을 벌면서 급하게 마무리투수 이현승의 몸을 풀게 했다.

2사 1루에서 마운드에 오른 이현승은 채태인에게 안타를 맞고 폭투까지 범해 2사 2, 3루를 자초했다. 그러나 이지영에게 투수 앞 땅볼을 유도하며 위기를 해결하는 듯 했다. 그런데 1루수 오재일이 결정적인 포구 실책을 저질렀고 경기는 8-9로 뒤집어졌다.

이로 인해 유희관의 승리투수 요건도 날아갔다. 이날 유희관은 6이닝 5실점으로 투구내용이 좋지는 않았다. 그러나 승리투수가 됐다면 그 동안 포스트시즌에서의 부담감을 한결 덜 수 있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 한 반도체 제조공장서 가스 누출 22명 병원
사고가 발생한 반도체 제조공장 (사진=인천소방본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 한 공장에서 화학약품 작업 중 염산 탱크에 염소산을 잘못 주입하면서 화학 반응과 함께 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20여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9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경 미추홀구 도화동 한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가스가 누출 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 사고로 2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작업자 4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18명은 자력으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았으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탱크로리에서 화학반응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하고 중화제를 뿌려 진화 했다. 사고 직후 공장 인근 근로자 등 120명은 자력으로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되자 인력 47명과 장비 29대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다. 관할 구청은 재난문자를 통해 "도화동 일대에서 가스 누출 사고 발생을 알리며 인근 주민들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염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