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구로구 등 서울시내 7개 준공업지역 일자리 창출 거점지로 육성

URL복사

기존 산업 유지·강화하면서 주거·산업기능 보완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서울시가 개발이 지지부진한 준공업지역을 일자리와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거점지로 육성한다.

서울시는 13일 기자설명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준공업지역은 공업지역의 하나로 '경공업과 그 밖의 공업을 수용하되 주거기능·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현재 구로, 영등포, 금천, 성동, 도봉, 강서, 양천 등 7개 자치구에 19.98㎢가 지정되어 있다.

서울시 토지의 3.3%에 불과하지만 제조업의 32.6%가 몰려 있다.

공장 위주의 준공업지역은 70년대 우리나라 산업화를 견인한 엔진과도 같았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IT, 자동차 등 새로운 산업으로 우리나라가 경제의 축이 옮겨가면서 침체를 거듭했다.

서울시가 이날 발표한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은 지역특성별 맞춤형 도시 재생기법을 적용, 기존 산업은 유지·강화하면서 그동안 부족했던 인프라를 보완하는 게 핵심이다.

여기에 창조문화산업, IoT·ICT 등의 신규산업을 유치해 준공업지역을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거점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을 물리적·산업적 특성을 고려해 ▲전략재생형 ▲산업재생형 ▲주거재생형 ▲산업단지 재생형으로 구분, 맞춤형 재생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전략재생형'을 보면 준공업지역 중 지역중심지로 기능강화가 필요하고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해 산업거점지역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이곳은 전략산업 지정, 용적률 상향(400%→480%) 등 특화된 정비기준을 적용하고 SH공사의 사업참여 등으로 재생의 파급효과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산업재생형'은 공장비율이 10% 이상으로 산업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이 동시에 필요한 지역이 대상이다.

이곳은 정비대상을 현재 대규모 부지(1만㎡이상)에서 중소규모 부지(3000㎡이상~1만㎡미만)까지 확대하고,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재생방식을 적용한다.

주거용도 입지시에도 산업용도의 확보비율에 따라 용적률을 400%이하까지 완화(현재 250%이하)하고, 좁은 부지 특성을 감안해 산업과 주거 기능이 한 건물 안에서 이뤄지도록 한다.

대규모 부지(1만㎡이상)는 공장부지 비율에 따라 산업부지를 확보하고 잔여 부지는 공동주택 개발을 허용해 산업과 주거를 공간적으로 분리한다.

주거재생형은 공장비율이 10% 미만인 주거화된 지역이 대상이다. 그동안 방치됐던 준공업지역내 낡고 위험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거지역에 준하는 재생방안(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주거환경관리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을 확대 적용한다. 역세권에 임대주택이나 기숙사를 건축하는 경우에는 용적률을 400%(현재 250%이하)까지 완화하는 인센티브를 준다.

악취, 소음 문제 등에 대한 맞춤형 대안을 제시해 거주환경을 이전보다 획기적으로 개선시킨다는 ㄱ획이다.

산업단지 재생형은 준공한지 40년 이상 경과한 G밸리, 온수산업단지를 단지별 특성에 따른 재생 가이드라인을 통해 일자리 거점지로 육성하는 게 주된 내용이다.

서울시는 이번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통해 ▲일자리 4만6000개 창출 ▲연면적 기준 약10만㎡ 임대산업시설 확보 ▲청년주택 2700호 공급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있다.

서울시는 관련 실태조사와 공청회 개최, 제도 정비 등을 마친 뒤 2016년부터 이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는 입장이다.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준공업지역은 서울의 3.3%에 불과한 작은 지역이지만 서울의 미래를 품고 있는 원석같은 존재"라며 "이번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통해 준공업지역이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미래 서울의 다이아몬드로 연마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