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김일곤 “차 안에 유전자 남아있을까봐 불 질렀다”[종합]

URL복사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트렁크 살인 사건'의 피의자인 김일곤(48)이 경찰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주도면밀하게 움직인 정황이 추가로 드러났다.

18일 서울 성동경찰서에 따르면, 김씨는 범행 후 이동 과정에서 목적지를 크게 우회해 돌아가거나 택시를 타고 이동한 거리를 걸어서 돌아가기도 했다.

김씨는 지난 9일 오후 2시께 충남 아산시 소재 대형마트 지하주차장에서 강도목적으로 주모(35·여)씨를 차량째 납치해 끌고 다니다 살해했다. 주씨에 대한 실종 신고가 접수될 것으로 판단한 김씨는 이후 주로 국도를 이용해 강원 속초, 부산, 울산 등 전국을 오갔다.

울산에서는 차량의 번호판을 훔쳐 바꿔달고 이동했다.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에는 통행권을 뽑고 톨게이트에 진입한 뒤 하이패스 차선을 이용해 빠져나오는 수법으로 경찰의 추적을 피했다.

11일 서울에 진입한 김씨는 차량을 몰고 다니다 교통단속 중이던 경찰을 목격했다. 도피 과정에서 교통사고를 내고 그대로 달아났던 김씨는 경찰이 자신을 쫓는다고 생각, 성동구의 한 골목길로 차를 꺾었다. 이어 인근 후미진 곳에 차량을 주차한 뒤 차량에 불을 붙였다.

김씨는 경찰 조사에서 "차 안에 내 유전자가 남아있으면 경찰에 붙잡힐 거로 생각해 불을 질렀다"고 진술하는 등 범행 흔적을 지우려고 애쓴 것으로 조사됐다.

현장을 빠져나온 김씨는 왕십리로 향했다. 이후 택시를 타고 장한평으로 이동한 뒤 다시 신답사거리 방향으로 걸어 올라가는 등 동선을 복잡하게 꾸몄다. 인근에서 식사를 마친 김씨는 오후 9시11분께 다시 택시를 타고 이동했다.

경찰은 사건 접수 후 폐쇄회로(CC)TV 분석 등을 통해 검거 전날인 16일 해당 사실을 파악했다. 김씨의 이동 동선 추적을 위해 택시 GPS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추적했다. 하지만 김씨는 추적 중이던 경찰이 아닌 시민의 제보로 17일 오전 11시5분께 붙잡혔다.

이 과정에서 경찰이 사실상 김씨의 동선 파악에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김씨가 검거 직전 동물병원에서 난동을 부리지 않았다면 검거에 얼마나 더 많은 날이 걸렸을지 모른다는 것이다.

경찰은 김씨가 지난달 19일에 계약, 같은 달 27일 짐을 챙겨 나간 최종 거주지인 광진구 화양사거리 고시원의 존재 여부를 검거 후 김씨의 진술로 파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범행 후 김씨의 동선에 대해서도 진술에 의존해 조사하고 있다.

김씨에 대한 조사도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김씨가 조사 중 다른 조사관이 들어서면 일체 진술을 거부하고, 물을 건네면 "죽을 놈이 무슨 물을 먹느냐"며 버리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파일러를 통한 범행 심리에 대한 조사도 김씨의 상태에 따라 미뤄지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김씨가 자해 등 돌발행동을 할 것에 대비해 근무자들이 매시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김씨에 대해 강도살인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호산대, 방사선과 ‘방사선사 현장실습 발표 자기주도성장 콘퍼런스’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 방사선과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사업 현장실습 발표회 프로그램 일환으로 지난달 23일 「방사선사 현장실습 발표 자기주도성장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이번 콘퍼런스는 방사선과 재학생들의 현장실습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후배 학생들의 현장실습 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3학년 재학생들은 지난 4월 28일부터 6월 20일까지 8주간(320시간) 경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및 핵의학과에서 현장실습을 진행하며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았다. 발표는 영상의학과(일반촬영실, 투시조영실, 혈관조영실, CT실, MRI실, 초음파실)와 핵의학과 7개 팀의 부스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학생들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직접 경험한 환자 응대 지침, 실습 전 유의사항, 감염 예방 및 안전 관리 사항, 실무 적응 전략 등을 후배들에게 소개했다. 방사선과 3학년 김동현 학생은 “현장실습을 통해 배운 점을 후배들과 나눌 수 있어 보람을 느꼈다”며, “이러한 경험 공유가 방사선사로서 전문성과 더불어 자기주도적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방사선과 학과장 곽병준 교수는 “이번 발표회는 단순한 현장실습 성과 공유를 넘어, 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