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수원시, 전국에서 성범죄 가장 많이 발생해

URL복사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최근 5년간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성폭력 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 수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이 경찰청으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성폭력 범죄 발생 현황'에 따르면 경기 수원시에서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3215건의 성폭력 범죄가 발생했다.

구체적으로는 2010년 472건, 2011년 627건, 2012년 643건, 2013년 770건, 지난해 703건이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건수다. 다음으로 경기 부천시(2926건), 경기 성남시(2295건) 등이 뒤따랐다.

서울에서는 관악구가 212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남구(2079건), 서초구(2036건), 서대문구(1708건), 송파구(1639건) 순이었다.

부산지역의 경우 부산진구(1466건), 남구(1311건), 해운대구(1181건), 북구(771건), 사상구(725건) 순, 인천은 남구(1289건), 남동구(1133건), 서구(887건), 부평구(861건), 계양구(824건) 등이 뒤이었다.

지난해 성폭력 범죄 건수는 2만9517건으로 하루 평균 80건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도별로는 2010년 2만375건, 2011년 2만1912건, 2012년 2만2933건, 2013년 2만8786건이었다.

하루 평균 발생건수는 2010년 55건에서 2011년 60건, 2012년 62건, 2013년 78건으로 매해 증가세를 보였다.

노 의원은 “성폭력 범죄의 경우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2013년부터 급증했다”며 “박근혜 정부가 4대악(성폭력·가정폭력·학교폭력·불량식품)을 뿌리뽑아 국민의 안전을 지키겠다며 호언장담을 했는데 성폭력 범죄가 증가하는 것은 정부의 대책이 말뿐인 대책임을 보여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성폭력 범죄는 국민 불안을 가중시키는 대표적인 범죄인만큼 성폭력 범죄 단속에 집중관리와 예방활동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호산대, 방사선과 ‘방사선사 현장실습 발표 자기주도성장 콘퍼런스’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 방사선과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사업 현장실습 발표회 프로그램 일환으로 지난달 23일 「방사선사 현장실습 발표 자기주도성장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이번 콘퍼런스는 방사선과 재학생들의 현장실습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후배 학생들의 현장실습 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3학년 재학생들은 지난 4월 28일부터 6월 20일까지 8주간(320시간) 경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및 핵의학과에서 현장실습을 진행하며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았다. 발표는 영상의학과(일반촬영실, 투시조영실, 혈관조영실, CT실, MRI실, 초음파실)와 핵의학과 7개 팀의 부스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학생들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직접 경험한 환자 응대 지침, 실습 전 유의사항, 감염 예방 및 안전 관리 사항, 실무 적응 전략 등을 후배들에게 소개했다. 방사선과 3학년 김동현 학생은 “현장실습을 통해 배운 점을 후배들과 나눌 수 있어 보람을 느꼈다”며, “이러한 경험 공유가 방사선사로서 전문성과 더불어 자기주도적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방사선과 학과장 곽병준 교수는 “이번 발표회는 단순한 현장실습 성과 공유를 넘어, 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