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저축은행, 상호금융사 등 제2 금융권의 가계 신용대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수요는 은행권으로 몰리는 반면, 담보가 없는 저소득층·저신용계층이 제2금융권 신용대출로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중 비은행예금기간의 기타대출은 전분기 대비 5조원 늘어났다. 이에 따라 분기말 말 잔액은 138조원으로 치솟았다.
비은행예금기관은 저축은행, 신협, 상호금융 등을 말한다. 기타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나머지 대출로, 가계 신용대출이나 마이너스 통장이 90%를 차지한다.
일년 중 제2금융권의 신용대출이 5조원 이상 폭증하는 시기는 보통 이사가 빈번하고 소비가 커지는 4분기다. 이때는 비은행예금기관의 신용 대출뿐 아니라 일반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도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2분기 중 비은행예금기관의 신용대출이 5조원이 증가한 건 매우 이례적일 뿐 아니라,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처음이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소액 신용대출 위주로 비은행기관의 가계대출이 늘어나고 있다"며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의 완화로 주택담보대출 수요는 일반 은행으로 많이 옮겨갔지만, 신용대출은 제2금융권 비율이 줄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들어 특히 저측은행 신용대출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연말연시 성과급으로 여유자금이 생기는 1분기에도 1조원이 늘어난데 이어 2분기에도 8000억원이 증가했다.
문제는 제2금융권 신용대출 차주가 일반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차주보다 금리 인상 충격에 더욱 취약하다는 점이다. 제1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저신용계층인데다 담보도 적당치 않은 저소득층이 대부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에는 최근에 정책당국에서 고정금리 분할상환으로 구조를 개선하려고 하는 노력을 많이 하기 때문에 점차 리스크가 낮아질 수 있다"며 "반면 신용대출은 변동금리인데다 금리 수준이 높아 시중금리 인상 시에 원리금 상환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위험성이 더 크고 민감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