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미국 경제경영 전문지 포브스 100대 혁신기업에 네이버·아모레퍼시픽 선정

URL복사

네이버,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선정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네이버와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경제경영 전문지 포브스가 발표한 100대 혁신기업으로 선정됐다.

포브스의 혁신기업은 최근 12개월의 실적과 혁신 프리미엄을 기준으로 선정된다. 혁신 프리미엄에는 투자자들의 기업 분석, 미래 성장 전망 등이 포함된다.

20일(현지시간) 포브스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체 순위 21위로 국내 기업 가운데 최고의 혁신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아모레퍼시픽은 28위를 차지했다.

네이버는 국내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2년 연속 100대 혁신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에는 53위였지만 올해 32단계나 뛰어올랐다.

포브스가 분석한 네이버의 최근 1년간 성장률은 15.85%, 혁신 프리미엄 지수는 58.22%였다.

아모레퍼시픽의 1년간 성장률은 28.44%, 혁신 프리미엄은 55.29%였다. 이번에 100위권에 처음 진입한 아모레퍼시픽은 파운데이션을 퍼프(솜)으로 찍어 바르는 '쿠션 화장품'으로 혁신 역량을 높이 평가받았다.

한편 혁신기업 1위는 전기자동차로 유명한 미국의 테슬라 모터스가 차지했다. 아시아 1위는 전체 6위에 오른 유니레버 인도네시아였다.

중국에서는 IT기업 바이두가 전체 11위로 중국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다. 태국의 유통기업 CP ALL은 17위, 일본 전자상거래기업 라쿠텐은 19위였다.

이밖에 전자상거래기업 아마존(미국)은 8위, 에너지음료 몬스터 비버리지(미국)는 13위, 명품 패션브랜드 에르메스 인터내셔널(프랑스)은 22위, IT기업 레드햇(미국)은 26위, 호텔체인 메리어트 인터내셔널(미국)은 29위를 차지했다.

금융기업 비자(미국)는 32위, 마스터카드(미국)는 36위, IT기업 VM웨어(미국)는 39위, 커피 브랜드 스타벅스(미국)는 45위, IT기업 텐센트(중국)는 55위, 음료 브랜드 코카콜라(미국)는 81위에 올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