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는 21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북한의 포격 도발 등 대내외 리스크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북한의 포격도발로 우리 경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 관계 기관이 참여하는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 포격 도발 이후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과 중국발 금융시장 불안 등 대외 위험 요인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북한 포격 도발은 장 마감 이후 발생해 국내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는 북한 도발 전후로 원·달러 환율이 일시적으로 상승했으나 이후 안정세를 되찾았으며, CDS 프리미엄은 전일 대비 소폭 상승(+3bp)했다.
정부는 이런 금융시장의 움직임이 북한 도발보다는 중국 불안 등 글로벌 요인에 의한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정부는 대외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북한 리스크들까지 대두된 만큼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기로 했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최근 주가가 하락하고 환율이 상승하는 등 시장 불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시장에서 우려하는 대외 리스크에 대해서는 발생가능한 시나리오별로 대비책을 마련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날부터 관계기관 합동 점검 대책반을 구성, 금융시장·실물경제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금융시장 불안이 심화되거나 북한 관련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관계부처 합동으로 24시간 점검체계로 전환하고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외국인 투자자, 외신, 신평사에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등 투자 심리 안정 노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주 차관은 "과거 경험을 감안할 때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우리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에 그치고, 그 크기도 제한적이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들이 대외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대두되는 만큼 정부와 관계기관은 그 어느 때보다도 경각심과 긴장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