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정호 기자]18일 오전 열릴 예정이던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동만)의 중앙집행위원회(중집) 회의가 노조원들의 회의 저지 사태로 4시간30여분만에 가까스로 개최됐다. 하지만 이날 회의에서는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노사정위) 복귀 안건은 제외됐다.
한국노총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은 이날 오후 3시25분께 중집위원간 논의를 마친 후 회의 저지를 위해 집결한 노조원들에게 "중집 회의를 열되 오는 22일 노동자대회 내용만 안건으로 다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집위원들은 이와 함께 노사정위 복귀에 반대하고 있는 산별노조가 지도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취지의 당부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동만 위원장은 논의가 끝난 직후 위원장실을 빠져나와 이날 집결한 산별노조 노조원들과 악수를 나누며 6층 대회의실로 이동해 회의를 열었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 시작 직후 모두발언에서 "청년일자리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사회 양극화가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데에 큰 책임감을 갖고 있다"며 "오는 22일과 25일 전국 노동자대회에 가열한 동참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중집은 당초 이날 오전 11시 회의를 열고 오는 22일 노동자대회 준비사항 점검과 함께 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금속·화학노련 및 공공연맹 노조원들이 회의 시작 전부터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 및 7층 위원장실 앞을 점거하면서 회의 개최는 4시간30분여 연기됐다.
이 과정에서 한국노총 일부 지역위원장이 중집 회의를 저지하려 모인 노조원들에게 욕설을 하면서 항의하는 등 중집위원들과 노조원 사이에 갈등이 빚어졌다.
김 위원장은 위원장실에 진입한 노조원들과 면담한 후 중집위원들과의 논의 끝에 중집 회의를 열되 노사정위 복귀 여부는 논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중집위원들 사이에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이날 갈등 끝에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 여부는 안건에서 제외됐지만, 오는 22일 전국 노동자대회를 통해 노동계 의견이 취합되면 26일 또다시 열리는 중집 회의에선 복귀 여부가 정식 안건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노사정위 복귀에 반발하는 산별노조 구성원 중에서도 조건부 복귀에 찬성하는 이들도 적지않아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완전히 물건너간 것은 아니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들 조건부 복귀 찬성쪽은 ▲일반해고 지침 ▲취업규칙 변경의 반대 입장을 명확히 제시하고 다시 노사정위를 보이콧할 가능성을 열어두는 조건 등을 내 걸고 있다.
이 때문에 오는 22일 열릴 전국 노동자대회 분위기에 따라 4개월여만에 노사정위가 다시 재가동될지, 아니면 또다시 파행될지 여부가 판가름될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앞서 김대환 노사정위 위원장 복귀와 함께 노동계 반발이 심한 일반해고 지침과 취업규칙 변경을 단기 과제가 아닌 중장기 과제로 노사정위에서 다루자는 중재안을 한국노총 지도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재안을 내세워 한국노총을 일단 협상 테이블에 끌어들여 '선(先) 복귀, 후(後) 논의' 방식으로 타협점을 찾자는 것이다. 전국 노동자대회에 이어 오는 26일 다시 열릴 중집에서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결정될 경우 노사정위는 파행 4개월여만에 재가동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