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여야 동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실시를 제안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내년 20대 총선에서 이 제도가 여야 동시에 도입될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
새정치연합 혁신위원회는 지난 24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대해 "빈대를 잡기 위해 초가삼간을 태우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며 사실상 반대했다. 혁신위는 오픈프라이머리가 계파 갈등과 공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인 것처럼 비쳐지는 데에 우려를 표했다.
혁신위는 "새누리당이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는 기존의 기득권 질서를 고착화시키기 위해 경쟁을 가장한 독과점 체제일 뿐"이라며 "진정으로 국민에게 공천권을 되돌려주고 정치선진화를 이룰 수 있는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당에서도 김무성 대표의 강한 의지와는 달리 이 제도의 전격 도입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5일 여야에 따르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난 13일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 정치는 그간 잘못된 공천 때문에 계파 갈등이 증폭됐고, 당이 분열하는 악순환을 겪었다"며 "만악의 근원인 공천 제도를 혁신해 민주정당을 만들겠다"고 천명했다.
그는 "정치에서 만악의 근원인 공천 문제가 해결되면 정치권이 안고 있는 부조리와 부정부패의 90%는 없어질 것"이라며 "내년 총선에서 상향식 공천제를 반드시 성사시켜 공천권을 당원과 국민 여러분께 돌려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당론으로 결정하고, 야당에 '여야 동시 실시하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압박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당초 김 대표의 이 같은 제안에 대해 "우리 당 역시 원론적으로 찬성하는 만큼 동시 실시에 대해서는 검토 가능하다"고 화답해 여야 간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분석이 나왔지만 혁신위가 이에 대해 사실상 반대하면서 논의는 다시 '백지화' 되는 분위기다.
정의당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대해 "정당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여당이 단독으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새누리당 국민공천제 태스크포스(TF)는 여당 단독으로라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중이긴 하지만 여당 내부에서도 '당론 추진'에도 불구하고 정치신인에게 불리한 점, '역선택' 우려 등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김 대표는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8월 말까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합의가 안되면 (여당)단독으로라도 실시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야당이 진정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을 원한다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잃은 정치를 신뢰받는 정치로 만들길 기원한다면 반드시 상향식 공천제, 국민공천제로 수정해야 한다"고 즉답을 피했다.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도 전날 혁신위의 반대 의사 표명 후 "(야당이 거부했다면)아주 원론적인 차원에서의 오픈프라이머리는 안되는 것"이라며 "원래 오픈프라이머리는 여야 같은 날 했을 때 가장 완벽한 형태의 오픈프라이머리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 않을 경우 여당은 여당대로 방법을 찾아야겠지만 우리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결정한 바 있다"며 "지금으로서는 야당에게 계속 촉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