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정호 기자]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한·일 정상이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에서 발표한 축사에 대해 "서로 다른 말만 하다 끝난, 의미없는 축사"라고 평가했다.
정대협은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국간 과거사를 둘러싼 인식차가 여전히 멀게 느껴진다"며 "과거를 잊은 일본과 한일관계 미래를 논하기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과거사'를 언급한 것과 달리 일본은 지난 50년 역사가 우호, 협력, 발전의 역사이기만 했던 것처럼 미화하며 과거사를 싹둑 잘라냈다"면서 "아무래도 박 대통령이 다시 뒤통수를 얻어맞은 게 아닐까 싶다"고 지적했다.
또 자신의 외조부이자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인 기시 노부스케를 거론하며 국교정상화 50년을 자축한 아베 총리에 대해서는 "언제나 그렇듯 실망과 분노만을 남기고 말았다"며 "동아시아 미래를 위협하는 징후처럼 보인다"고 우려했다.
박 대통령이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화해와 상생의 마음으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자'고 한 발언 역시 도마위에 올랐다.
정대협은 "청산되지 못한 과거사는 내려놓거나 묻을 수 있는 짐이 아니며 반드시 해결돼야 할 당면 과제"라며 "화해와 상생은 이 전제가 이행되고 나서야 가능하다"고 못박았다.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대표는 "일본이 강제징용시설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한다 해서 독일까지 가서 유네스코 관계자를 만났다"며 "피해자가 왜 이렇게 고생해야 하는 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대표는 "이게 다 1965년 굴욕적 한일협정 때문"이라며 "이로 인해 피해자 권리는 소멸되고 앉을 자리 설 자리 모두 잃었다"고 성토했다.
정대협은 향후 계획에 대해 "8월 발표될 아베 담화에서 우리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정치, 시민사회계와 함께 운동해나갈 것"이라며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데는 국제사회 피해국들이 적극 나서지 않는것도 있으니 이들과 함께 (일본을 압박하기 위한) 국제 여론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