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류현진, 데뷔 후 한 해 평균 180이닝 가까이 소화

URL복사

[시사뉴스 김기철 기자] 어깨 수술이 확실시 되고 있는 류현진(29·LA 다서스)은 2006년 프로 데뷔 후 한 해 평균 180이닝 가까이 소화하며 앞만 보고 달려왔다.

아무리 강견을 자랑하는 선수일지라도 이렇다 할 큰 부상 없이 10년 가까이 던지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한번쯤 겪어야 할 시련일지도 모른다.

2006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한 류현진은 데뷔 첫 해부터 한화의 에이스로 자리를 잡으며 괴물 같은 투구를 선보였다.

그는 데뷔 시즌 30경기 중 28경기에 선발로 출장해 201⅔이닝을 던지며 18승6패1세이브를 올렸다. 평균자책점 2.23, 탈심진 203개를 기록했다.

이해 류현진은 최다승리, 최다탈삼진, 평균자책점 1위를 기록하며 투수 3관왕은 물론 시즌 MVP와 신인상을 동시 석권하는 기념비적인 시즌을 보냈다.

괴물 신인에게 2년차 징크스 따위는 없었다. 30경기 모두 선발로 경기에 나서 첫 해보다 더 많은 211이닝을 던졌다. 소포모어 시즌이 프로 통산 류현진 자신이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한 시즌이다. 기록도 나쁘지 않다. 17승7패 평균자책점 2.94 탈삼진 178개를 올렸다.

3~4년차에는 기록적인 부분에서는 다소 하락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리그 최고 투수 중 한 명이었다. 데뷔 5년차인 2010년에는 25경기에 선발로 나서 192⅔이닝을 던졌다. 경기당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했고 완봉은 3차례, 완투는 5차례나 됐다.

2011년에는 견갑골 이상으로 2개월간 1군과 2군을 오가며 프로 데뷔 후 가장 적은 24경기(18경기 선발)에 출장해 126이닝만을 던졌지만 완투를 3차례나 기록했을 정도로 크게 문제될 것은 아니었다.

이듬해 27경기에 모두 선발로 나와 182⅔이닝을 던지며 최하위팀 한화의 기둥 역할을 했다.

또 시즌 경기 뿐 아니라 태극마크를 달고 아시안게임, 올림픽,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도 공을 뿌렸다.

2013년 메이저리그 진출 첫해에도 류현진은 한국에서와 같은 활약을 이어갔다. 매 이닝 전력투구를 하며 30경기에 나와 192이닝을 소화했다.

지난해에는 시즌 초반 어깨 부상으로 경기에 나오지 못하면서도 복귀 후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책임지며 26경기에서 152이닝을 던졌다.

프로 입단 후 KBO와 MLB에서 보낸 9시즌 동안 무려 246경기(선발 237경기)에 나서 1613이닝을 던졌다.

한 시즌 평균 179이닝, 경기당 6.5이닝을 책임지며 혹사에 가까운 경기력을 보여준 류현진이기에 수술이 앞으로 더 큰 활약을 위한 쉼표일지 모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