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40년 만에 연극출연 노주현 "연극 통해 삶에 여유를"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최근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배우 노주현(69)은 "모리 교수보다 내 이미지가 좀 더 엄격하다"고 말했다. "모리 교수는 나보다 좀 더 부드러운 분이지만 그의 캐릭터를 흉내내기 보다 카리스마를 더할 것"이라며 눈을 빛냈다.

연극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에서 모리 교수를 연기하는 그의 포부다. 미국 작가 미치 앨봄(56)의 동명 논픽션이 바탕이다. 1997년 출간, 98년 국내 번역·출간됐다. 앨봄과 임종을 앞둔 그의 스승인 사회학자 모리 슈워츠(1916~1995)가 나눈 대화들을 기록했다. 미치가 화요일마다 루게릭병에 걸린 모리를 찾아가는 이야기. 미치의 치열한 일상에, 모리의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은 휴식이 된다.

노주현은 이 작품을 통해 40년 만에 연극에 출연한다. 1968년 TBC 5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그는 1976년 거장 연출가 이해랑(1916∼1989)이 이끌던 극단 신협의 연극 '죄와벌' '이어도' 이후 한동안 무대에 오르지 않았다.

1980~90년대 TV 멜로드라마의 '꽃미남' 배우로 떠올랐다. 이후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2000~2002), '똑바로 살아라'(2002~2003), '감자별 2013QR3'(2013~2014)과 여자 아이돌이 출연한 예능프로그램 '청춘불패'(2009~2010) 출연 등으로 연기와 활동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내게 엄격한 카리스마가 있는 반면, 소년처럼 망가지는 천진난만함도 있고, 아이같은 동심도 있다. 배우가 캐릭터를 창조하는 데 자신의 성격이 묻어나올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이 그 연기를 보기 힘들다."

하루 3시간씩 꾸준히 연습 중인 노주현은 루게릭 병에 걸린 환자 연기에 대해서는 고민 중이다. 모리는 운동세포가 파괴되고 근육이 위축되다 결국은 죽음에 이른다. "세밀하게 표현해야 한다. 순간순간 그 병의 증상이 나와야 하는데, 연극 무대라 관객에게 확실히 보여줘야 하는 것이 어렵다. 현재 내 가장 큰 숙제"라고 했다.

2인극도 노주현에게 첫 도전이다. "상대 배우와 대화를 주고 받는 것 역시 디테일을 찾아내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우 오민석이 그와 호흡을 맞춘다.

노주현은 "배우는 선택을 받는 존재라 수동적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하지만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은 조금 더 그가 적극적일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그의 한양대 연극영화과 동기인 고학찬(68) 예술의전당 사장이 제안했고 작품을 고르는데 아이디어를 더했다.

무엇보다 연극 장르가 '배우의 예술'이라 뜻깊다고 눈을 반짝였다. "영화는 연출의 예술이고 TV 드라마는 작가의 대본이 좌지우지하는 것이 크다. 연극은 반면 배우가 이끌어가야 한다."

앞서 2008년 '지붕 위의 바이올린'으로 뮤지컬에 처음 도전했다. "큰 경험이었다. 처음 시작할 때 내가 (힘들어서) 다들 도망갈 거라 생각했다는데… 끝까지 다 마쳤다."(웃음)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에서 부부로 호흡을 맞췄던 배우 박정수(62)가 '다우트'로 연기생활 43년 만에 연극 데뷔하는 등 중년배우들의 무대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미 신구, 이순재 형님과 박정자, 손숙 선배님이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계신다. 나나 박정수 씨가 그분들의 뒤를 이어 열심히 활동할 때가 된 거지."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은 삶에 쫓기는 현대인들에게 스스로를 돌아볼 기회와 스승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우리가 젊었을 때는 가난했지만 지금처럼 각박하지는 않았다. 현재 젊은이들은 매일을 치열하게 살아야 하니 그만큼 딱하지. 바로 지금 앞에 있는 것만 매달릴 수밖에 없는 거다."

현자의 표정으로 연극 대사 '어떻게 죽어야 할 지를 배우면, 어떻게 살아야 할 지도 배우게 된다'를 외웠다. "연극을 통해서, 내 연기를 통해서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살아갈 생각을 했으면 한다."

그래서 향후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을 자신이 경기 안성에서 운영 중인 소극장 '까사떼아드로(CASA TEATRO)'에서 공연하려는 구상도 하고 있다. "좀 더 작은 공간에서 젊은이들과 가까이 호흡하고 싶다. 뿐만 아니라 작지만 다양한 공연을 통해 점차 남녀노소 누구와도 긴밀하게 소통해나가고 싶다." 이번 연극은 교감의 출발점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