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전세난에 분양가 상승까지…' 미분양이 주목받는다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전세시장의 강세가 이어지자 신규 분양시장 뿐만 아니라 미분양 시장도 호황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KB국민은행에 집계한 전세가율을 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1월보다 0.4%p 오른 70.6%를 기록하면서 1998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역시 평균 66.8%로 조사 이후 가장 높았다. 성북구, 강동구 등 일부 지역은 70%를 넘어 80~90%에 이른다. 경기도는 처음으로 평균 70%를 넘어섰다.

집값은 더 떨어지지 않고 전세난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인식 때문일까. 전세에서 매매로 돌아선 수요자들도 많아지고 있다.

분양시장 분위기는 어느때보다 좋자 신규 아파트 분양가도 상승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모델하우스 문을 연 '김포한강센트럴자이 2차' 아파트는 지난해 5월 분양한 1차 아파트보다 분양가를 3.3㎡당 25만원 올랐다.

분양을 앞둔 동탄신도시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는 3.3㎡당 평균 1100만원 중반 대에 책정될 예정이다. 동탄2신도시 분양가는 불과 1년 전만 해도 1000만원 이하대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미분양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실수요자들도 많아지고 있다. 미분양 아파트는 청약 통장이 필요없고 원하는 동·호수 지정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실제로 미분양 아파트는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미분양 주택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3만6985가구로 지난해 12월(4만379가구)보다 8.4%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이 정점을 찍었던 2009년 3월(16만5641가구) 이후 가장 적다.

높아진 관심만큼 수도권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에 대한 수요도 높다.

㈜한라는 배곧신도시 특별계획구역에서 '시흥배곧 한라비발디 캠퍼스'를 분양 중이다. 지하 2층∼지상 40층, 12개동 전용 71∼138㎡ 2701가구로 조성된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서울 강동구 고덕동 일대에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를 분양 중이다. 지하 3층~지상35층 51개동, 총 3658세대 전용 기준 59~192㎡로 구성된 대단지 아파트다.

GS건설이 서울 중구 만리동2가 176-1번지 일대 만리2구역을 재개발한 '서울역센트럴자이'를 분양하고 있다. 총 2603가구의 대단지로 지하 5층~지상 24층 14개동 전용 72~84㎡ 1341가구 규모다. 이 가운데 418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대림산업은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7가 145-8번지 일대에 '아크로타워 스퀘어'를 분양중이다. 지하 3층 지상 29~35층, 59~142㎡ 총 7개 동으로 이뤄지며 총 1221세대 중 655세대를 일반 분양한다.

롯데건설은 경기 용인시 기흥역세권 계획복합도시에 '기흥역 롯데캐슬 레이시티'를 분양 중이다. 지하 4층충~지상 38층, 3개동으로 아파트 260가구(전용 84㎡)와 주거소형오피스텔 403실(전용 22~26㎡),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지어진다.

대우건설은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221-100 일대에 '봉담 센트럴 푸르지오'를 분양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지하 1~4층, 지상 21~29층 12개 동 전용59~84㎡ 1265가구로 지어진다.

한화건설은 인천 남동구 고잔동 한화꿈에그린월드 인천 에코메트로(인천 에코메트로) C10블록에서 즉시 입주가능한 '에코메트로 3차 더타워'를 분양 중이다. 전용 95~140㎡ 644가구와 오피스텔 46~81㎡ 282실로 총 926가구의 대단지다.

곽창석 ERA코리아부동산연구소장은 "전세난으로 신규분양 시장이 호황을 이어가고 있지만 분양가도 함께 오르고 있어 미분양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수요도 많다"며 "미분양 아파트를 선택할 때는 가격하락이 비교적 적은 개발호재가 많은 곳에 들어서는 브랜드 아파트 위주로 둘러보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