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리퍼트 “비온 뒤 땅 굳어…한·미 같이 갑시다”[종합]

URL복사

퇴원 기자회견…“한국 국민들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명”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가 5박6일간의 병원생활을 청산하며 그 동안 우리 국민들이 보내준 성원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리퍼트 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신촌동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본관에서 퇴원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 국민들이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명받았다"며 "이번 사건으로 한국에 대한 사랑과 애정은 더욱 커졌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몸 상태에 대해 "훌륭한 치료 덕에 빨리 복귀하게 됐고, 모두 회복될 것"이라며 "사건 자체는 무서웠지만 지금은 걷고 얘기하고 아이와 아내도 안을 수 있다"고 밝은 표정을 보였다.

특히 리퍼트 대사는 기자회견 도중 간간히 '동네 아저씨', '세준이 아빠',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같이 갑시다' 등의 한국어 솜씨를 뽐내며 한국에 대한 애정을 과시했다.

그는 "한·미간의 끊어질 수 없는 믿음의 고리도 굳건해졌다"며 "한국 국민들이 우리 가족에게 보내주신 사랑을 믿고 친근하게 다가가기로 했다. 한국 분들이 불러주신대로 '동네 아저씨', '세준이 아빠'로 남을 것"이라고 미소지었다.

또 리퍼트 대사는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며 "훌륭한 우정과 한국 국민들의 성원에 다시 감사드린다. 같이 갑시다"고 한미동맹의 굳건한 관계를 재확인했다.

그는 "군사적 파트너십 뿐 아니라 역동적인 경제·정치관계, 양국민의 협력 관계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무 복귀 일정에 대해선 "강력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위해 업무에 속히 복귀하길 바란다. 더 큰 열의로 일할 것"이라며 "당분간 가벼운 일정을 소화하겠지만 다시 양국 관계와 그에 따른 업무를 수행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향후 자신의 신변 경호에 대해선 "경호, 전술, 절차는 전문가들에게 맡기겠다"며 "전반적으로 서울이나 한국의 타 지역을 다닐 때 굉장히 안전하다 느낀다. 생산적인 사법당국의 협력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리퍼트 대사는 지난 5일 오전 김기종(55) 우리마당독도지킴이 대표가 휘두른 흉기(길이 25㎝ 과도)에 오른쪽 얼굴 광대 뼈에서 턱 밑까지 '길이 11㎝·깊이 3㎝'의 자상을 입어 80여 바늘을 꿰매는 봉합수술을 받았고, 왼쪽 팔 전완부의 힘줄 근육 2개가 파열돼 신경접합술을 받았다.

이날 오전 리퍼트 대사는 얼굴 부위의 실밥을 모두 제거받았다. 다만 왼쪽 손목 부분에 통증이 남아있는 만큼 재활 치료를 위해 향후 대사관에서 세브란스병원 의료진에게 치료를 받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