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정호 기자]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978년 이후 처음으로 4000명대에 진입했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전년(5092명)보다 330명 감소한 4762명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포니자동차 등 개인 승용차의 대중화 초창기였던 1978년(5114명)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매년 5000여명 이상 발생하던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은 정부의 '교통사고 사상자 줄이기 종합대책'(2013년 7월)을 집중적으로 추진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현 정부 출범 이후 최근 2년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630명이 감소했고, 이는 지난 10년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감소한 것이다.
안전띠 착용률 또한 2012년 68.70%에서 지난해 77.92%로 9.22%p 상승했다. 블랙박스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공익신고 접수도 2012년 12만7506건에서 지난해 44만2968건으로 3.2배나 증가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통안전 수준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했다.
교통안전을 일상적 위험으로 간주하는 사회인식이 만연하고, 뒷좌석 안전띠 착용 가장 기초적인 실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고령 인구비율은 12.2%(2013년 기준) 인데 비해,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은 전체의 3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2012년 1864명에서 지난해 1815명으로 2.6% 감소하는 데 그쳤다.
정부는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수 4500명 이하를 목표로 노인보호구역 확대 등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및 정부의 교통안전홍보 역량 강화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노호보호구역에 과속 단속장비 등 안전시설 확충 ▲국도 내 마을 인접 구간에 빌리지존(Village Zone) 지정 ▲전좌석 안전띠 착용 연내 법제화 ▲고령 운전자 적성검사 도입 등을 추진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최근 잇따른 대형 연쇄 추돌사고와 관련해 사고의 원인과 문제점을 철저히 규명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예방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승환 국토부 장관은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37년 만에 5000명 이하로 감소한 것은 매우 획기적인 성과"라면서도 "OECD 선진국 수준의 교통안전을 위해서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말했다.
서 장관은 이어 "올해에는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4500명 이하를 목표로 예년에 비해 강도 높은 교통안전 예방활동을 추진해 국민들이 보다 안심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