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임택 기자] "어떤 경우에도 독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공정한 조건에서 해야합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노후 전동차 교체를 위해 국제경쟁입찰을 예고한 서울메트로측의 입장을 두둔했다.
'제3회 WeGO 총회' 참석 차 5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 청두시를 찾은 박 시장은 이날 오전 동행취재 기자단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서울메트로가 칭다오 등에 시찰단을 보내 전동차 생산공장 등을 살펴보는 것에 대해 일각에서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현재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소속 시의원을 비롯해 교통 관련 대학교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연구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시찰단을 꾸려 세계 전동차 수주 1~2위 업체인 중국남차(CSR)와 중국북차(CNR) 등을 방문해 공장설비 및 전동차 품질, 성능 등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메트로는 노후전동차 교체계획에 따라 2022년까지 1조원 가까운 재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 시찰은 그동안 국내기업인 현대로템이 사실상 자연독점하고 있는 국내 전동차 시장에 적지않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서울메트로측이 재정적 부담 등을 이유로 전동차 구매창구 다양화를 꾀하면서 자칫 국내 전동차 시장을 중국에 내어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현대로템 하청업체들은 시찰단 출국에 앞서 2차례에 걸쳐 서울메트로 본사에서 집회를 열어 국내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국제경쟁입찰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서울시나 서울메트로측의 말을 종합하면 국내산업 보호 못지 않게 현대로템 독과점 폐해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1999년 이전에는 전동차 구매 입찰에는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등 3사의 경쟁체제가 일반화되어 전동차 가격이 안정됐다.
하지만 1999년 7월 3사가 통합된 현대로템이 출현한 이후 장기간 독과점이 이어져 왔다. 전동차 구매가격 협상에 관한한 사실상 현대로템이 주도권을 쥐고 계약을 진행해왔다는 볼멘소리가 서울시나 서울메트로 안팎에서 나오는 이유이다.
박 시장은 이같은 목소리를 의식한듯 "우리사회가 어떤 사회인가. 글로벌 사회가 아닌가. 건축도 글로벌하게 하고 있다. 서울이라는 도시가 우리 건축가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 (경쟁은)그게 내 소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국제경쟁입찰은)시민의 이익과 안전을 위한 것이다. 전동차도 얼마든지 혁신할 수 있다. 자동정화장치, 지하철 공기질 등을 고려해서, 내구성이 더 좋은 것을 선택해야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만약 중국 전동차가 도입될 경우, 국내산업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이왕이면 했던 데(현대로템) 계속하면 좋긴 좋다"면서도 "우리가 한 두번 구매 하는게 아니다. 가격, 안전, 여러가지 유리한 점을 살펴 시민을 위해 진행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