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제

미래부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 수립 착수

  • 임택
  • 등록 2014.10.26 17:33:00
URL복사

[시사뉴스 임택 기자] 미래창조과학부는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을 마련해 2015년부터 연구개발(R&D)를 수행하는 부처가 과제평가 시 적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표준지침은 연구자의 자율성과 책임성 강화를 기본방향으로 ▲연구개발과제의 기획·선정·평가 적정비용의 확보 ▲과제선정 시 충분한 평가시간 확보, 평가결과 공개 및 이의신청 절차 의무화 ▲연차평가 및 평가보고서 간소화 ▲종료평가 시 성실실패 인정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그동안 국가연구개발 과제의 평가는 소관 부처별로 수립된 자체 지침에 따라 수행됐다.

현재 국가연구개발을 수행하는 19개 부처에 관련 연구관리규정이 282개, 근거법률이 97개에 달하는 등 부처에 따라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규정 및 법률들로도 과제선정 시 공정성 문제, 잦은 성과평가에 따른 행정부담, 연구결과가 실제 사업화까지 활용되지 못하는 연구개발 결과의 수준 등이 지속적으로 문제 시 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미래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평가 표준지침'을 연말까지 마련·배포를 하기 위해 KISTEP(http://www.ikistep.re.kr)을 통해 27일부터 11월21일까지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받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배태민 성과평가국장은 "이번 지침 마련으로 과제평가 체계를 개선해 연구개발 환경이 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김문수 후보 ‘내가 나서면 대선 이길수 있다’는 착각인가? 단순 몽니인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의 단일화를 둘러싼 내홍이 ‘단순 갈등’수준을 넘어 ‘꼴볼견’ ‘가관’ ‘x판 오분전’이다. 지난 3일 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최종 선출되면서 한덕수 무소속 예비 후보와의 단일화는 순조로울 것으로 전망됐다. 왜냐하면 김 후보가 세 차례나 치러진 국힘 경선에서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심지어 ‘을지문덕’이라며 자신이 후보가 되면 한 후보와 단일화 하겠다는 것을 수차례 밝혔기 때문에 한 후보를 지지하는 국힘당원들이나 중도층이 김 후보를 적극 지지해 최종후보로 선출될 수 있었다. 그런데 여측이심(如廁二心 화장실 갈 때와 나올 때 마음이 다르다)으로 김 후보 측이 갑자기 단일화에 몽니를 부리면서 단일화 과정이 꼬이기 시작했다. 물론 김 후보 측의 몽니에는 이유가 있었다. 본인이 국힘 후보인데 국힘 지도부는 한 후보를 중심으로 단일화 전략을 짜고 있고, 본인이 추천한 사무총장(장동혁) 임명을 무시하는 등 선거와 관련한 당무(黨務 당의 사무나 업무)에서 철저히 배제당한다는 느낌을 받으니까 당연히 ‘이건 아니지’라는 꼬라지가 나는 것은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당 지도부와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