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우리나라 이동통신3사의 중고폰 수거율이 올해 상반기 2.0%까지 급감한 반면, 중고폰 가입율은 7.4%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자원 절약과 가계통신비 절감 차원에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문병호의원(인천부평갑)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받은 ‘2009∼2014년 이통3사 중고폰 수거, 가입, 수출 현황’에 따르면, 이동통신3사의 중고폰 수거 비중은 2010년 13.2%에서 2014년 6월말 2.0%로 떨어졌다(2009년은 SKT의 자료가 없어 제외).
2010년 이동통신 3사는 총 2,396만 8천대를 판매했고, 그해 중고폰 수거량은 315만 8천대로 중고폰 수거비중이 13.2%였다. 하지만, 2014년 상반기, 이동통신 3사는 1,210만 8천대를 판매한 반면 중고폰 수거량은 24만 1천대에 그쳐, 중고폰 수거비중이 2.0%에 불과했다.
이통3사별 중고폰 수거비중은 2014년 상반기 기준, SKT가 3.7%로 가장 높았고, KT가 1.3%로 뒤를 이었다. LGU+는 0.8%에 불과했다.
한편, 이동통신 3사의 중고폰 가입율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높은 단말기 가격과 가계통신비 증가에 부담을 느껴 중고폰을 많이 찾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동통신 3사의 중고폰 가입율은 2010년 1.7%에 불과했지만, 2014년 상반기에는 7.4%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3사별 중고폰 가입비중은 2014년 상반기 기준, KT가 7.9%로 가장 높았고, LGU+가 7.1%, SKT가 7.0%로 뒤를 이었다.
문병호의원은 “중고폰 수거율이 2.0%로 급감했는데도 중고폰 가입율이 7.4%로 급증한 것은 높은 통신비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의 중고폰 수요가 늘어난 때문”이라고 풀이하고, “중고폰 재활용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그동안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와 단말기제조사들은 고가의 신규단말기 판매에만 주력해 자원 낭비와 통신비 증가를 부채질해왔다”며 “정부는 중고폰 수거율과 가입율을 높일 대책을 통해 자원 절약과 가계통신비 절감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