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임택 기자]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가 8일 임영록 전 KB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등 금융사 수장 등의 증인채택 여부를 놓고 여야가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파행을 빚었다.
특히 이날 여야 공방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의원이 정무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김용태 의원에게 “하기 싫으면 나가라”고 고성을 지른 데 대해 새누리당 의원들이 ‘사과’를 요구하고 나서며 고성이 이어졌다.
이날 소동은 정무위 여야 간사가 오는 15~16일 있을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의 증인 명단을 놓고 지속적으로 협의를 벌여 왔지만 이날 오후까지 확정하지 못한데 따른 것이다.
정무위는 이날 오전부터 국회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했고, 이어진 오후 감사에서 새정치연합 강기정 의원이 “증인채택 협상에 대한 보고를 먼저 듣고 국감을 진행하는 게 좋겠다”고 말해 정무위 야당 간사인 김기식 의원의 증인채택 협상 상황에 대한 보고가 이어졌다.
김 의원은 “지난 월요일부터 지금까지 계속 증인 채택을 위한 간사간 협의를 해왔다. 오늘이 다음주에 있을 금융위 금감원 국감 증인채택을 위한 마지노선이기에 오늘 중으로는 증인채택을 해야 한다만 아직까지 여야 간 합의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금 새누리당 방침이 재벌 총수, 회장, 사장, 행장 등 '장'자가 붙은 사람은 안 된다, 노사관계 문제가 조금이라도 있으면 안 된다(는 것)”이라며 “이게 어떻게 국감 증인채택의 원칙이 될 수 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 금융위, 금감원 증인에 대해 구체적 합의에 이르고 있지 못해서 과연 이 상태로 원만히 진행될 수 있을지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여당 간사인 김용태 의원도 “일단 오늘 국감을 불가피하게 중단하고 다른 소환기관 증인채택 문제를 갖고 회의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오늘 국감을 바라보는 국민들에게 할 말이 없다. 국민들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국감이란 게 원래 헌법과 법률로써 해야 할 일을 규정한 게 있다”며“우리 새누리당 정무위 위원 여러분과 함께 원래 헌법, 법률에 정해진 국감 범위와 내용에 맞게 증인이 채택되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강기정 의원이 “의원들이 요청한 증인들 중 헌법과 법률에 어긋난 게 있느냐”며“어떤 증인이 어떻게 어긋나는지 속시원하게 이야기해보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어 “자꾸 그렇게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냐. 두 간사를 뽑아놨으면, 오늘 오전까지 (합의를) 하기로 했으면 했어야지 파행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김용태 의원을 향해 ”하기 싫으면 나가라“고 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무슨 말을 그렇게 하냐”는 의원들의 반발이 이어졌고 강 의원은 “무슨 말을 그렇게 하냐니. 한글 못 알아듣냐”고 반박했다.
이에 정무위원장인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이 “이렇게 말씀할 기회를 줬는데 싸우라고 기회를 줬는 줄 아느냐”며 소리를 높였다.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도 강기정 의원을 향해 “굉장히 무례하고 고압적으로 말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일”이라며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강기정 의원은 김상민 의원을 향해 “두 간사가 오늘 오전 중으로 어떻게든 (합의를 해) 방망이를 치겠다고 했는데 아무 합의 내용이 없다. 그러면 두 간사가 무능한 것 아니냐. 무능하다는 말도 못 하면 의원이 맞느냐”며 “무능하면 물러가야 한다. 김 의원은 반성하라”고 말했다.
이에 야당에선 증인채택 협상을 위한 정회를 요청했고, 1시간 가량의 공방이 이어진 끝에 오후 국정감사는 중지됐다.
정무위 여야 간사인 김용태 의원과 김기식 의원은 이날 오후 다시 속개돼 이어지고 있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와 별도로 금융사 지주 등의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 협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