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신철 기자] 검찰의 서울 친환경유통센터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수사기관의 서울시장 선거 개입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서울 친환경유통센터는 서울시장 새누리당 정몽준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후보가 공방을 벌이고 있는 '친환경 급식 식자재 잔류농약 검출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곳이다.
서울서부지검 형사2부(부장검사 이성희)는 28일 오전 9시40분부터 서울 강서구 친환경유통센터와 가락동 농수산식품공사, 양재동 양곡관리사업소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박 후보 측은 즉각 반발했다. 최근 2년 동안 수사해오던 사안을 굳이 선거 직전에 압수수색했다며 강하게 의혹을 제기했다.
야당도 힘을 보탰다. 새정치민주연합 서영교 의원 등이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라며 대검찰청을 항의방문한 것이다.
검찰의 압수수색이 식자재 농약 검출과 박 후보 주변 인사의 개입 정황에 대한 정 후보 측의 진상규명 요구와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논란이 커지자 검찰은 즉각 입장을 밝히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압수수색에 대해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라 전 친환경유통센터장 고모(56)씨가 배송협력업체 선정과 관련해 10여 차례에 걸쳐 420만원을 받아 챙겼다는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잡범에 가까운 개인비리”라며 “최근 (급식 식자재 잔류농약 검출)논란에 대한 상황을 잘 알지 못했다”고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김진태 검찰총장도 압수수색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하며 “수사를 지방선거 전까지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선거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러한 검찰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압수수색 의도에 대한 의혹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지방선거를 일주일여 앞두고 가열 양상을 보이는 '네거티브' 공방에 검찰이 기름을 부은 모양새가 된 탓이다.
전문가도 검찰의 압수수색이 박 후보에 대한 고의적 흡직내기로 비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세균 전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는 “서울시장 후보간 쟁점 사안을 검찰이 압수수색해 박 후보 측에게 큰 잘못이 있는 것처럼 비춰지게 됐다”며 “충분히 특정 후보를 흠집내기 위한 것이라고 볼 여지가 있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선거가 끝난 뒤에도 계속 문제가 된다면 그때 수사를 통해 확실한 증거를 모으고 압수수색을 해도 늦지 않은 사안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반면 선거를 앞두고는 있지만 논란이 된 부분은 오히려 수사를 통해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친환경 농약 급식은 우리 아이들과 관련된 문제다. 전량 폐기 됐다는 부분에 대해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며 “위험요소가 있어 수사를 하는 만큼 선거를 앞두고 있다 해서 뒤로 미루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