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기혼자 매칭’ 사이트 국내상륙…‘불륜 조장’ 논란 일듯

URL복사

[시사뉴스 임성주 기자] 기혼자 만남을 주선하는 온라인 사이트 ‘애슐리 매디슨’이 지난 18일 국내 서비스를 시작해 논란이 예상된다.

애슐리 매디슨은 2002년 캐나다에서 만든 온라인 만남 주선 사이트다. 현재 36개국 2500만여명의 회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미혼자들의 만남을 주선하지 않고 이미 결혼한 사람들끼리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성별과 사는 곳, 키, 몸무게, 결혼 여부 등을 입력해 계정을 만든 뒤 상대방에게 메시지와 선물을 보낼 수 있다. 이 회사의 슬로건은 ‘인생은 짧다. 연애하라(Life is Short. Have an Affair)’다. 혹자는 이 슬로건을 ‘바람을 피워라’로 해석하기도 한다.

애슐리매디슨은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연평균 1억2500만 달러(약 1340억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동시에 불륜을 조장한다는 비난도 끊임없이 받고 있다. '불륜 조장 사이트'나 ‘가정 파괴자’라는 꼬리표는 기본이다. 싱가포르에서는 아예 웹사이트를 열지도 못했다.

2009년 캐나다 정부는 애슐리매디슨의 광고를 허용하지 않았다. 노엘은 당시 정부에 1인당 교통비를 25센트씩 지원하는 대가로 거리를 지나는 전차에 외부광고를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제안했다. 당시 광고비는 220만 달러(약 23억5000만원)였다.

캐나다 정부와 정치인들은 시내를 지나는 전차에 애슐리매디슨 광고를 씌우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노엘은 정부를 상대로 소송까지 걸었지만 광고를 내거는 데는 실패했다.

애슐리매디슨 텔레비전 광고에 출연했던 모델이 불이익을 받기도 했다. 그는 미스캐나다로 뽑힐 가능성이 높은 유망주였다. 하지만 이 광고에 출연한 사실이 밝혀지자 바로 탈락했다.

노엘 비더만(42) 애슐리매디슨 CEO는 “아시아 국가에 유교 사상이 강한 것처럼 유럽 국가에는 기독교 사상이 강하다”며 “기혼자 만남 사이트를 열 때마다 장애물은 존재했고 환영받았던 적도 없었다”고 토로했다.

유교 문화가 강한 우리나라에서도 이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간통을 조장한다는 도덕적 책임에서도 완전히 자유롭지 않다. 하지만 노엘 비더만은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낙관적으로 바라봤다.

노엘은 우리나라에서 6개월 안에 회원 수 25만~3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36개 국가 중 상위 5위권에 드는 수준이다.

그는 한국에서의 성공 요인으로 ▲불륜이 많이 일어나는 점 ▲이혼율이 높은 점 ▲전자상거래가 활발한 점 ▲소득 수준이 높은 점 ▲남녀평등을 이룬 점 등을 꼽았다.

그는 “스위스와 일본, 호주, 브라질 등 4개 나라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며 “한국도 이들 나라와 비슷한 요소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노엘은 우리나라의 ‘간통죄’에 대해 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까지 노엘 개인이나 애슐리매디슨 회사는 간통이나 불륜과 관련해 소송에 휘말린 적이 없다.

노엘은 “현행법상 애슐리 매디슨이 직접 고소당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면서도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때 다른 이슈보다 이 점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애슐리 매디슨은 단순히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플랫폼만 제공할 뿐”이라며“예를 들어 페이스북으로 연락해 바람을 피우는 사람이 있어도 페이스북을 없애라고는 하지 않는다. 애슐리 매디슨이 불륜 조장 등 논란에 휘말리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