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연구원, 소기업·소상공인의 경쟁 부담 해결 정책 필요

URL복사
[시사뉴스 임성주 기자] 서울시의 소기업·소상공인은 10명 중 6명 꼴로 업종별 경쟁 정도가 높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은 29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70호 인포그래픽스 '서울 소기업·소상공인이 경쟁을 가장 크게 느끼는 요인은?'을 발간했다.

이번 발간물은 서울신용보증재단과 서울연구원이 함께 조사한 '2013년 하반기 신용보증재단 소기업·소상공인 체감경기지표' 조사를 바탕으로 1000개 소기업·소상공인에 경쟁 부담 정도를 조사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소기업·소상공인들은 69.4%가 '경쟁상태(과잉 경쟁상태다+다소 경쟁상태다)'라고 답했으며 21.2%는 '보통', 9.4%는 '경쟁없다(경쟁 별로없다+경쟁 거의없다)'라고 밝혔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과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이 각각 75.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제조업(71.0%), 도매 및 소매업(69.2%), 숙박 및 음식점업(68.2%),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56.1%) 순이었다.

이들이 경쟁 정도가 높다고 느끼는 이유로는 동종 업체 과다(55.3%), 가격 경쟁 과잉(11.2%), 경기 침체(10.7%) 등이 꼽혔다.

이 중 제조업은 동종 업체 과다를 꼽은 비율이 64.7%로 다른 업종에 비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건설업은 61.7%로 조사됐다.

박희석 서울연구원 서울경제분석센터장은 "소기업·소상공인의 경쟁 부담 요인 중 동종 업체 과다가 가장 큰 요인으로 조사됨에 따라 업종 내 내실을 다지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