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 교육부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 출판사가 자체수정 요청한 937건에 대해 최종 승인했다. 당초 오탈자 등 단순 오류에 대해서만 수정하기로 했으나 일제강점기를 미화한 내용까지 수정돼 ‘교학사 구하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교학사 등 한국사 교과서 8종 출판사가 자체수정을 요청해 수정심의회를 거친 결과 지난 5일 모두 937건에 대해 최종 승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수정·보완에 따라 교육부가 지난해 10월 수정·보완 권고한 829건 가운데 승인한 788건과 자체수정 승인 484건, 수정명령 41건, 이번에 자체수정 승인 요청을 통해 승인한 937건 등 모두 2250건의 수정·보완이 승인됐다.
출판사별로는 우편향 논란을 빚은 교학사가 751건으로 가장 많고 금성 86건, 두산동아 30건, 리베르스쿨 17건, 미래엔 16건, 비상교육 16건, 지학사 16건, 천재교육 5간 등의 순이다.
교육부가 최종 승인한 서술내용 수정 주요 사례는 대한민국 정체성 부분과 6.25 전쟁, 일제강점기 미화, 북한 문제 등이다.
UN이 대한민국을 ‘38도선 이남에서만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을 ‘한반도 전체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으로, 6.25전쟁의 발발원인에 대한 ‘양비론적 해석 내용’을 북한의 남침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북한의 남침 작전명령’으로 교체했다. ‘북한 토지개혁에 대한 긍정적 인식 부분’도 ‘한계점’과 ‘기만성’을 추가기술토록 수정했다.
특히 이번에 추가 수정된 사안에는 교학사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술 등 논란이 됐던 사안도 다수 포함됐다.
교학사는 총 752건의 자체수정이 승인됐다. ‘현지 위안부와 달리 한국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는 기술이 ‘군 주둔지에서 착취 당 하였을 뿐 아니라 전선에 동원되어 강제로 끌려 다니는 경우가 많았다’로 고쳐졌다. 또 일제의 쌀 유탈을 ‘수출’로 표현한 부분도 ‘반출’로, 일본 자본의 ‘침투’를 ‘진출’로 기술한 부분을 ‘침투’로 수정했다.
일제에 의한 의병학살을 토벌로 기술한 부분도 ‘학살’ 또는 ‘공격’으로 수정했고 히로시마 원폭 ‘투하’를 일본 입장이 반영된 '피격'으로 기술해 논란이 됐으나 ‘투하’로 수정됐다.
이밖에도 독도는 우리나라의 고유영토임에도 “우리나라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로 오기했다가 ‘실효적 지배’라는 용어가 삭제됐다.
금성, 비상, 천재 등은 대학민국 정부와 북한 정권을 동격인 ‘정부’로 표현하는 등 ‘남북한에 두 개의 정부가 들어서다’라고 표현했으나 ‘대한민국 정부가 들어서다’로 수정했다.
교육부는 당초 맞춤법, 띄어쓰기 등 단순한 표기상 오류 등 단순 오류만 수정하기로 하고 출판사로부터 23~24일 이틀간 표기오류 자체 수정안을 접수받았다. 하지만 최종 승인 후 단순 오류뿐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서술 등 내용까지 고쳐 '교학사 구하기'가 아니냐는 비판이 예상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처음에는 단순 오탈자만 있는 줄 알고 수정해 주려고 했는데 막상 자체수정안을 받아보니 내용에 오류가 있고 학생들이 오해할 소지가 있어 수정을 승인해 준 것”이라며 “당초 계획과 다르다고 해서 내용을 수정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에게 잘못된 내용을 가르쳐 줄 수 있다”고 해명했다.
교육부는 앞서 지난해 10월21일 국사편찬위원회의 검정 심의를 통과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 8개 출판사에 모두 829건을 수정·보완할 것을 권고했고 이 가운데 788건이 승인됐다.
또 8종 출판사가 제출한 수정보완 대조표에 대해 수정심의해 지난해 11월29일 리베르를 제외한 나머지 7개 출판사에 모두 41건을 수정하라고 명령했다. 출판사가 이를 모두 받아들이자 한국사 교과서 8종에 대해 최종 승인했지만 역사 왜곡 사실이 추가로 발견되는 등 논란은 계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