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시, 주거위기가정 보증금 최대 500만원 지원

URL복사

시, “민관협력 통해 주거복지사각지대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 다할 것”

서울시가 자녀를 동반한 채 고시원, 여관 등을 전전하며 불안하게 살아가는 ‘주거위기가정’에 임차(월세) 보증금을 최대 500만원까지 대한주택보증, 한국교회봉사단,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와 함께 지원한다.

서울시는 그 첫 수혜 대상으로 지난 겨울 처음 발굴해 지원한 바 있는 ‘주거위기가정’ 중 아직도 이사를 가지 못한 4가구를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시가 지난해 겨울 일제조사로 발굴한 주거위기가정 42가구 모두(타시도 전출과 지원을 원치 않는 가구 제외)가 안정적인 주거지를 확보하게 됐다.

서울시는 2012년 겨울 일제조사를 통해 자녀와 찜질방, 여관 등을 전전하며 거주하는 주거위기가정 42가구를 발굴, 선정해 희망온돌 기금을 활용해 긴급 주거비와 생계비를 지원한 바 있다.

이후 시가 기존 42가구를 재조사해 그간의 지원 상황을 파악한 결과 26가구는 LH․SH 선정 입주 또는 희망온돌 광역기금지원 등을 통해 이미 안정된 주거지로 이사를 했으며, 나머지 가구 중 타시도 전출과 지원을 원치 않는 가구를 제외한 5가구를 심사해 4가구를 지원대상자로 최종 선정, 통보했다.

서울시는 앞으로 이들 4가구가 집을 구하고 계약서를 해당 자치구에 제출하면 가구당 300만원~최대 500만원까지 임차보증금을 지원하게 된다. 이때 임차보증금은 집주인에게 바로 보내게 된다.

이번에 지원하는 임차보증금은 서울시와 뜻을 같이한 대한주택보증(사장 김선규)이 후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주택보증은 지난 10일 서울시에 5천 만원을 후원하는 후원금 전달식을 가졌으며, 한국교회봉사단은 추가로 지원이 필요한 대상가구와 회원 교회를 연결해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대한주택보증 직원들은 지원 대상 가구가 이사를 갈 때 도배, 장판 등의 자원봉사도 할 예정이다.

후원받은 기금은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회장 황용규)가 관리하게 되며, 지원 대상자는 임차자금 지원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선정한다.

서울시는 자녀와 함께 노숙 직전의 상황에 놓인 주거가 불안정한 가구에 대한 상시적인 발굴․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오는 10월 숙박업소, 학교, 복지기관, 자치구 등의 협조를 얻어 일제조사를 실시해 지속적인 임차보증금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주거위기가정 지원이 필요한 경우 120 다산콜 또는 동주민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강종필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갑작스런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자녀와 함께 찜질방이나 여관을 전전하는 주거위기가정을 적극 발굴해 보다 안정된 주거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의식주 문제야말로 사람이 누려야할 기본 욕구인 만큼 민관협력을 통해 주거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사회적 안전망을 촘촘히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